李 "유족들에게 국가가 등 돌리는 일, 이재명 정부에서는 결단코 없을 것"
- 유족들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 대책 촉구
![]() |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6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4대 사회적 참사 유가족들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했다. 유가족들은 이 자리에서 각 참사의 미해결 과제를 제시하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 대통령, "정부 부재" 인정하며 공식 사과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라는 이름으로 세월호, 이태원, 오송 지하차도, 무안 여객기 참사 유가족 200여 명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히며 고개를 숙였다. 대통령실은 특히 이태원 참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정부의 공식 사과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행사 후 SNS에 세월호(304명), 이태원(159명), 오송(14명), 무안 여객기(179명) 참사 희생자 수를 언급하며 "스러져 간 656개의 우주를 기억하겠다"고 밝혔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인사하고 있다. 2025.7.16 (사진=연합뉴스) |
유가족, 진상규명과 제도 개선 요구
대통령의 사과에 이어 각 참사 유가족 대표들은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김종기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참사에 대한 국정원 및 군의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며 핵심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또한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생명안전기본법'의 연내 제정을 요구했다.
송해진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참사 관련 정보와 경찰의 수사기록 일체를 특조위에 제공하고 공개할 것을 제안했다.
최은경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는 재난 원인 조사 및 국정조사 추진, 책임자 처벌, 재난 유가족 지원 매뉴얼 법제화 등을 요청했다.
김유진 무안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특별법 개정을 통한 진상 규명,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독립, 항공 안전 시스템 전수 점검 등을 제안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를 하며 참석 유가족들을 향해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2025.7.16 (사진=연합뉴스) |
정부, "요구사항 검토 및 모든 조치 추진" 약속
2시간 가까이 진행된 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유가족들의 발언을 경청한 뒤, "오늘 전해준 말씀을 전부 철저히 검토하고 가능한 영역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추진해 가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애끊는 그리움과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짊어지고 사는 유족들에게 국가가 등 돌리는 일은 이재명 정부에서는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 차관 및 책임자들이 배석해 유가족들의 요구사항을 직접 청취했다. 대통령실은 발언 기회를 얻지 못한 유족들을 위해 '마음으로 듣겠습니다'라는 서식을 비치해 모든 의견을 서면으로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