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자료 분석 후 소환 재통보 검토”...측근 라인 수사 본격화
![]() |
| ▲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제2기 국가교육과정 전문위원회 위촉식 및 1차 회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6.30 (사진=연합뉴스) |
김건희를 둘러싼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의 ‘매관매직(職賣賣職)’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서울 중구의 한지살리기재단을 압수수색했다.
이 전 위원장이 재단 이사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윤석열 부부에게 금품과 전통 공예품을 전달하며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이 핵심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재단 사무실에 수사관을 투입해 문서와 컴퓨터 파일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한지살리기재단은 2021년 설립된 비공식 공익법인으로, 이 전 위원장은 2022년 9월 국가교육위원장에 임명되기 전까지 이사장직을 맡았다.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이 김건희 측에 금 4~5돈(150만~200만원 상당) 금거북이와 축하카드를 전달한 사실을 포착하고, 이 인사 청탁이 국가교육위원장 임명 과정과 연관됐는지를 집중적으로 수사 중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 7월 양평 공흥지구 특혜 의혹 수사 과정에서 김건희의 오빠 김진우 씨와 장모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도중, 금거북이와 인사 명단, 현직 경찰 간부 이력 자료를 확보한 바 있다. 이 자료가 이번 압수수색의 주요 근거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위원장은 이달 초 특검의 두 차례 소환 통보에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불출석했지만,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의 비서 박모 씨를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23일)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 관계자는 “압수수색으로 확보된 자료를 분석한 뒤, 이 전 위원장의 직접 소환을 재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압수수색이 김건희 특검의 ‘측근 인사라인 수사’ 2단계로 넘어간 신호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향후 인사 로비와 청탁 의혹이 김건희와 연관성이 어디까지 드러나느냐가 수사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광주는 뜨거웠다...이재명, 집중유세 및 5.18 민주화 항쟁 45주년 전야제 [현장스케치]](/news/data/20250521/p1065586026697335_578_h2.jpeg)
![대통령이 어지럽힌 나라, 고통은 국민이 뒷수습은 민주당이...분노한 100만 시민 "尹 파면하라" [현장스케치]](/news/data/20250316/p1065611563950515_919_h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