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
오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최종 결정될 광복절 특별사면 명단에 윤미향 전 의원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번 사면이 지닌 화해와 통합의 의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9일 "오는 12일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명단이 나올 것"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아꼈지만,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가 윤 전 의원을 사면 건의 대상에 포함한 것으로 알려지며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윤 전 의원은 지난 수년간 이어진 검찰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줄곧 결백을 주장해왔다. 특히 그는 지난 8일 자신의 SNS를 통해 대법원의 유죄 판결에 대한 억울함을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검찰이) 10년 동안 긁고 긁어 1억을 횡령했다고 기소했다", "억지 판결로 1심의 무죄를 2심에서 유죄로 돌렸다"며 검찰의 무리한 기소와 사법부의 편향된 판결이 있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시민운동가로서의 행보는 멈추지 않았다. 윤 전 의원은 9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집회에 위안부 피해자를 상징하는 소녀상과 함께 참석하며 피해자들과의 연대를 이어갔다. 그는 "오늘도 저것들은 나를 물어뜯고 있다"면서도 "저를 욕하는 것들이 참 불쌍하다"고 말하며, 자신에 대한 비판에 의연하게 대처했다. 이어 "앞으로도 제가 걸어가야 할 길에서 한치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며 평생을 바쳐온 인권 운동에 대한 변함없는 소신을 밝혔다.
한평생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헌신해 온 인권 운동가가 '정치적 기소'의 희생양이 되었다는 동정 여론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특별사면을 통해 과거 정부 시절의 무리한 수사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전달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