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의 8·18 전당대회 기간 내내 이재명 대표를 겨냥한 단어는 '일극체제'였다.
마치 독재를 연상시키는 이 단어는 이 대표 후보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웠다.
그렇지만 자신 외에 다른 권력의 등장을 막아서고 거부하는 듯한 일극체제의 현실은 야권 곳곳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지만 워낙 힘의 격차가 큰 탓에 무시될 뿐이다.
어떻든, 이재명 2기가 출범하고 난 뒤 이른바 비명계, 야권의 또다른 파워가 조금씩 되살아나는 조짐이 보인다.
맨 앞에는 조국혁신당이 있다.
우군이 되겠다며 등장했지만, 10월 재보궐 선거를 두고 민주당과 경쟁이 불가피한 조국혁신당은 그 존재만으로도 권력의 누수가 발생하면 치고 들어갈 것임이 분명하다.
당 내부에서는 총선 이후 잠행하던 김부겸 전 총리가 "정치가 실종되고 여야 간 격화된 갈등과 대립으로 고통을 받는 국민의 삶에 우려하고 있다"며 정치활동 재개의 뜻을 밝혔다.
다만, 김 전 총리 측은 "정치세력화를 추진한다든지, 비명세력을 결집한다는 추정은 과도하다"며 선을 그었다.
비명계 전직 의원들의 결집 움직임도 표면화하고 있다.
박광온, 박용진, 윤영찬 전 의원 등 지난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비명계 전직 의원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원외조직 '초일회'는 다음달 회동을 통해 본격 활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친문계 의원들의 연구 모임인 '민주주의 4.0'도 최근 송기헌, 김영배 의원을 주축으로 재정비를 마쳤다고 알려졌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친문계 전해철 전 의원을 도정자문위원장으로 임명하는 등 친노·친문계 인사들을 규합해 세불리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김 지사가 의도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이재명과 각 세우기는 당선 이후부터 꾸준히 진행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광복절 복권으로 차기 대선에서 피선거권이 회복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올 연말 귀국해 친문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현재로서는 가장 파워가 약하다는 평가이지만 이낙연 전 총리와 새로운미래 역시 야권의 또다른 축으로 여전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일각의 정계은퇴설이 나오자 이 전 총리는 "국가의 위기를 외면하지 않겠다"고 부인하기도 했다.
이렇듯 야권에는 여전한 파워맨들이 있는데 이들 모두는 10월로 예정된 이 대표의 재판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만약 이 대표가 구속된다면, 실형이 나온다면 당연히 권력누수가 발생할 것으로 이를 미리 대비하면서 자신들의 존재감을 뽐낸다는 것.
정치가 생물이라는 격언이 실감나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