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무비자’ 혐오 논란 속 통계는 반전…보수정부 시기 입국자 압도적

  • -
  • +
  • 인쇄
2025-10-30 13:00:27
이종원 기자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톡 기사 보내기 https://sstpnews.com/news/view/1065584447051172
중국인 무비자 입국, 보수정부 시기(박근혜·윤석열)에서 더 활발
박근혜 정부 364만명, 윤석열 정부 146만명, 문재인 정부 169만명
박균택 “혐오보다 민생과 국익 우선…정치적 선동 중단해야”
▲ 반중 BOSS, '윤어게인' 집회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시행 중인 중국인 단체관광객 한시 무비자(무사증) 입국 제도를 둘러싸고 정치권 일부에서 혐오 정서가 확산되는 가운데, 실제 과거 통계상으로는 보수 정부가 해당 정책에 더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박균택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정부별 중국인 무사증 시행 이력 및 입국자 통계’에 따르면, 최근 12년간(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정부) 중국인 무사증 입국자 수는 총 678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박근혜 정부 시기가 364만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윤석열 정부 146만 명, 문재인 정부 169만 명 순이었다. 윤석열 정부는 임기가 아직 3년차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5년 임기의 문재인 정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는 2013년 내수 진작 대책의 일환으로 외국인 무사증 입국 허가 대상을 대폭 확대했으며, 윤석열 정부도 코로나19 이후 단절된 관광 수요 회복을 위해 중국인 크루즈 단체관광 시범사업과 한시 무사증 제도를 추진해왔다. 

 

▲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폭력범죄 비자금 환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2025.8.11 (제공=박균택 의원실)

박균택 의원은 “중국인 무비자 정책은 어느 정권이든 관광산업 활성화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필수 정책으로 이어져 왔다”며 “이를 ‘친중’ 프레임으로 몰거나 혐오 정치에 이용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일부 극단 세력과 정치권의 선동으로 혐오 시위가 APEC 개최지인 경주까지 번지는 것은 국격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책임 있는 정치인이라면 얄팍한 혐오보다 민생과 국익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한시 무비자 제도를 내년 상반기까지 유지하면서 관광객 수요와 지역경제 효과를 분석한 뒤 연장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댓글 1

  • 깜장왕눈이 님 2025-10-30 15:28:05
    태극기를 부끄럽게 만들지 마라, 매국내란 좀비들아.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