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노동당·녹색당·정의당 등)경선...한상균(민노총) vs 권영국(정의당)
- 경선 거쳐 선출된 후보, 정의당 이름으로 출마...대선 토론회 참가
![]() |
▲ 민주당 차기대선 경선 구도 (제공=연합뉴스, 편집=시사타파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6.3 대통령 선거 당내 경선 방식을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확정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위원장 이춘석)는 14일 오후 국회에서 개최한 중앙위원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특별당규 제정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에 따르면 이번 특별당규 제정안은 당원 투표에서 찬성 96.56%(반대 3.44%)로 압도적인 표차로 통과됐다.
이에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기대했던 당내 '비명계'는 불만을 쏟아냈다.
김두관 전 의원은 '경선 불참'을 선언했고,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경선 완주 입장을 밝혔지만 '사전 협의'가 없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권리당원(당비 납부)은 약 110만 명이다. 이를 뺀 나머지 50%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100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조기 대선으로 시간이 촉박한 가운데 '역선택' 우려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종 결정한 것이다.
![]() |
▲ 13일 김두관 전 의원의 게시글 (출처=김두관 페이스북) |
이에 반발해 경선 불참을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에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겠는가?"라고 비판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이날 경선룰 변경 확정 소식이 전해진 직후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밝힌 입장문에서 "(경선룰 변경에 관련해) 사전협의가 없었다는 것은 중대한 절차의 흠결"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역선택 우려는 민주당이 걱정할 정도의 사항이 아니다"라며 "오랫동안 민주당의 전통은 당직은 당원에게, 선출직은 국민에게 맡기는 것이 원칙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항해 중에 폭풍우가 몰아친다고 회항할 수는 없다"며 "비전과 정책으로 정정당당하게 뜨겁게 경쟁하고 최종 결과에 대해서는 통 크게 승복하겠다"며 완주 의지를 피력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불만을 털어놨지만 당의 결정에 따른다는 입장이다. 다만 김 지사는 이날 오전 MBC라디오에서 "가능하면 후보들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아쉬움을 표현했다.
![]() |
▲ 권영국 정의당 대표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은 2025.3.21 당시 이재명 대표가 경복궁 앞 정의당 농성텐트를 찾아 인사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
한편 조국혁신당과 사회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고, 진보당에서는 김재연 대표와 강성희 후보가 당내 경선에 나선다.
정의당은 사회운동진영과 공동으로 대선후보를 선출해 출마하기로 했다. 선출된 후보는 정의당원으로 출마한다. 정의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대선후보TV토론회 참가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TV토론 후보 초청 기준은 ‘직전 대통령 선거,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광역의원 선거, 비례대표 기초의원 선거에서 전국 3% 이상 득표한 정당 후보자’로 규정돼 있다. 정의당은 2022년 지방선거 광역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 4.14%를 득표했다.
앞서 정의당은 13일 정기당대회를 열어 조기대선을 위한 당헌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이에 따르면 정의당은 사회대전환연대회의가 주관하는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하기로 했다.
공식명칭이 '가자 평등으로!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는 정의당,노동당,녹색당과 진보성향 사회운동 단체, 노동조합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과의 비례연합을 위성정당이라 비판하며 공동행보를 해왔고, 내란과 탄핵 국면에서 독자적인 활동을 이어왔다.
사회대전환연대회의 경선에는 권영국 정의당 대표와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출마할 전망이다.
경선은 14~15일 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16일~26일 선거인단 모집 및 선거운동이 진행되며, 27일부터 30일 오후 8시까지 투표가 실시된다. 투표 마감 직후 개표가 이뤄져 후보를 확정한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