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27일 대선후보 TV토론에서 한 '여성 관련 부적절 발언'
역대 1위'윤석열 탄핵소추안 즉각 발의 요청 청원'...1,434,784명에 이은 2위
동의 요건(5만 명)을 충족해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되어 심사 받을 얘종
![]() |
▲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의 '여성 관련 부적절 발언'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역대 2위 규모의 '의원직 제명' 청원으로 귀결됐다.
6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국회의원직 박탈을 요구하며 그의 자질과 국회의 책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지만, 정작 국회는 윤리특별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은 채 사실상 이를 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6일 국회에 따르면, 지난달 4일 시작된 '이준석 의원의 의원직 제명 청원'은 5일 자정, 최종 60만 4,630명의 동의를 얻어 마감됐다. 이는 지난해 '윤석열탄핵소추안 발의 요청'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동의를 얻은 불명예스러운 기록이다.
이번 청원은 지난 5월 27일 대선후보 TV토론에서 이 의원이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질의하는 형식을 빌려 여성의 신체를 대상으로 한 부적절한 발언을 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 의원은 '후보 검증'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여성 폭력을 재생산하는 2차 가해'라는 비판이 쏟아지며 국민적 공분을 샀다.
청원은 시작 5시간 만에 상임위 회부 요건인 5만 명을 훌쩍 넘겼고, 한 달간 분노한 민심이 모여 60만이라는 거대한 숫자를 만들었다.
문제는 국회의 안일한 태도다. 이 의원과 결별하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허은아 전 의원은 5일 "국민들은 청원에 줄을 이었지만 국회는 아직 윤리특별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그는 "의원 한 사람의 문제를 외면하는 방관이 결국 국회의 윤리를 무너뜨릴 것"이라며 "기득권을 위한 국회가 아니라면 당장 윤리특위를 구성해 이 사안을 정식으로 다뤄야 한다"고 제명 절차 착수를 강력히 촉구했다.
국회의원 제명은 1979년 김영삼 전 대통령 이후 전례가 없을 정도로 무거운 징계다. 윤리특위 심사와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200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해 현실적인 문턱은 매우 높다.
하지만 60만이라는 민심의 무게는 가볍지 않다. 역대 2위라는 기록이 말해주듯, 이번 사안은 단순히 한 의원의 '말실수'를 넘어 국회의 품격과 윤리 기준에 대한 국민의 준엄한 심판으로 번졌다. '윤리특위 미구성'을 방패 삼아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다면, 이는 이 의원 개인을 넘어 국회 전체가 '방탄' 논란에 휩싸이며 국민적 신뢰를 완전히 잃게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