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국민참여경선'고려...60일 짧은 일정 상 경선기간 단축 필요
- 민주당 당헌 '대통령 후보자 선출은 국민경선이나 국민참여경선 원칙'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
6월 3일 장미 대선이 현실로 다가온 가운데,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대선에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질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비명계와 조국혁신당 등은 이재명 대세론을 흔들기 위해 야권 통합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제안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여러 당이 한번에 공동 경선으로 후보를 확정하는 예비 선거 방식을 뜻한다.
![]() |
▲ 6일 기자간담회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제안한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사진=연합뉴스) |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6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압도적 정권 교체를 위한 야권 통합 오픈프라이머리를 다시 제안한다”며 “민주당은 대선 후보를 민주당만의 담장 안에 가두지 말라”고 말했다. 이어 “차기 정부는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 헌정 수호 연합 정부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혁신당은 100% 일반 국민 투표로 범진보 진영 공동 후보를 선출하자는 입장이다.
앞서 조국혁신당은 지난달 4일 통합 경선을 제안했으나 윤석열 구속 취소로 관련 논의가 중단됐었다. 그러나 윤석열이 파면되자 오픈프라이머리 논의에 불을 다시 붙인 것이다.
이에 민주당 비명계가 즉각 화답하며 이재명 대표의 수용을 촉구했다.
![]() |
▲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사진=연합뉴스) |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탄핵의 강’을 함께 건넌 모든 세력이 힘을 합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며 “손에 땀을 쥐는 경선이 국민의 관심과 감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며 호응했다. 앞서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도 환영 입장을 밝혔다.
비명계 모임인 ‘희망과 대안’ 포럼 간사 양기대 전 의원도 “형식적 경선이 아닌 통합의 축제로서 완전 국민 경선을 실시해야 한다”고 힘을 보탰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 |
▲ 2024.6.10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인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사견을 전제로 “그런 방법보다는 각 당에서 대선후보를 정한 이후에 사회대개혁 요구를 수렴하고, 야권이 (후보를) 단일화해 정권교체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가는 게 훨씬 바람직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원들의 투표권을 없애버리는 것이라 정당법에도 맞지 않은 게 현실이다.
민주당 당헌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자 선출은 ‘국민경선’ 또는 ‘국민참여경선’을 원칙으로 한다. 국민참여경선은 권리당원 50% 이하, 권리당원이 아닌 유권자 50% 이상을 경선에 참여시키는 방식이다. 국민경선은 대의원·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고, 일반 국민은 참여 의사를 밝힌 접수자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통상 국민경선이 국민참여경선보다 비당원 국민의 의사가 더 많이 반영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민주당은 현재 국민참여경선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60일간의 짧은 조기 대선 일정상 경선 기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유다.
![]() |
▲ 더불어민주당 김윤덕 사무총장 (사진=연합뉴스) |
김 사무총장은 “국민참여경선은 실무적 준비가 편하고, 선거인단 방식(국민경선)은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기간을 주는데 이번 경선은 너무 짧아 아무리 해봐도 일주일 넘기는 건 사실 어렵다”고 말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당원 주권’을 강조해온 이 대표가 당원 의사가 상대적으로 더 반영되는 국민참여방식을 선호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후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선에서는 국민경선을 통해 대선후보를 선출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