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8월 중 개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의 '안보 청구서'가 이번 회담의 최대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최근 타결된 관세 협상에 이어, 이번에는 국방비 증액과 주한미군 역할 조정 등 한반도 안보 지형을 뒤흔들 민감한 현안들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다음 시험대는 '안보 청구서'…8월 중 정상회담 유력
대통령실은 "아직 정확히 정해진 일정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9월부터 유엔총회 등 다자외교 일정이 시작되는 만큼 늦어도 8월 중에는 첫 한미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관세 협상 후속 논의와 함께 각종 안보 현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강하게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100억 달러를 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최근 미 백악관도 나토의 국방비 증액 사례를 들며 아시아 동맹국들을 압박하고 있다.
'주한미군 역할 변화' 핵심 의제로 부상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역시 핵심 의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한미 고위 관계자들은 최근 '주한미군 역할의 변화 가능성'을 잇따라 언급했다. 이는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를 대만해협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전역으로 넓히는 '전략적 유연성'을 미국 측이 요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미국산 무기 추가 구매 등이 논의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안보 협상의 전반적인 뼈대가 잡힐 수 있다"고 말해, 이번 회담이 향후 한미동맹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다가올 회담에서 국익을 지켜내기 위한 면밀한 대응 전략 수립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