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일 윤석열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 (사진=연합뉴스) |
국가 공권력이 법원의 영장 집행을 막기 위해 우호적인 민간 시위대에 'SOS'를 요청했으나, 그들로부터조차 "우리가 똘마니냐"는 반발을 산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 1월 윤석열 체포가 임박했던 시점, 대통령실이 민간인을 동원해 공수처의 영장 집행을 막으려 한 구체적인 정황이 포착돼 파문이 일고 있다.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당시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실 성삼영 행정관은 탄핵 반대 집회를 이끌던 유튜버 신혜식 씨와 여러 차례 연락하며 지지자 동원을 요청했다.
성 전 행정관은 공수처의 1차 체포 시도가 무산된 직후인 1월 3일 밤, 신 씨에게 관저 인근 지도를 보내며 "민노총 X들이 오늘 밤 등산로를 이용해 관저를 덮친다는 첩보가 있다"며 "군경의 지원이 어려워 경호처 인력만으로 막기 어렵다. 지지자 결집이 필요하다"는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사실상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활용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실의 이러한 시도는 무리한 요구로 인해 내부 균열을 낳았다. 신 씨는 공수처의 2차 체포 시도 전날인 1월 14일, 성 전 행정관과의 통화에서 "1000명을 보내라고 하고, 언제 들어오는지도 모르는데 왔다 갔다 하라고 그러고, 도대체 뭔 작전을 세우는 것이냐"고 강하게 항의했다.
그는 이어 욕설과 함께 "위기 상황에서 시민단체를 예전처럼 '똘마니'로 두고 부려먹으려 하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고, 성 전 행정관은 "죄송하다"는 말만 반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 씨는 "5톤 트럭을 동원해 관저 정문을 막으라는 등 지속적 요청이 있었으나 응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첩보'를 운운하며 구체적인 지도까지 공유한 점은, 이번 일이 행정관 개인의 일탈을 넘어 대통령실 차원의 조직적 개입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키우고 있다. 성 전 행정관은 이후 다른 지지 동원 논란으로 사임했다. 국가기관이 법치주의의 근간인 영장 집행을 민간인을 동원해 막으려 했다는 점에서, 대통령실의 직권남용과 국정 난맥상을 드러낸 사건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