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범 김구선생 74주기 추도식 (사진=연합뉴스) |
이종찬 신임 광복회장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부정하거나 왜곡하는 세력은 극좌파 친북 이적 집단이거나 소위 극우세력이라고 주장했다.
26일 용산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백범 김구 선생 제72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이 광복회장은 추모사를 통해 "많은 이들이 백범 선생께서 주장한 분단 없는 평화통일을 곡해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추모사에서 "대한민국의 원년은 1919년으로 이를 부정하거나 왜곡하는 세력은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는 북한을 옹호하는 극좌파 친북 이적 집단이거나 한국의 독립운동을 고의로 폄하하고 왜곡하는 소위 극우세력"이라고 말했다.
이 광복회장은 "선생께서는 자유와 인권이 유린당하더라도 무조건 통일만 바라는 통일지상주의 길을 가신 게 아니라, 한민족이 사상으로 갈라져 죽고 죽이는 상황을 만들지 말자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선생께서 진정으로 민족을 사랑하고 자주독립의 역사를 지향하셨다는 뜻을 우리 후진들에게 교육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겠다고 다짐했다.
![]() |
▲백범 김구선생 일러스트 (사진=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
1876년 8월 29일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난 백범은 1894년 동학군의 선봉장으로 싸웠으며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발생하자 이듬해 2월 일본인을 죽이고 '국모의 원수를 갚으려고 이 왜놈을 죽였노라'는 포고문을 길거리에 내걸었다.
이후 체포돼 1897년 7월 사형이 확정됐다가 광무황제 특명으로 사형 직전 집행정지령이 내려졌다.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이준·이동녕 등과 함께 구국운동을 이끌었다.
1908년 독립지사들의 비밀결사 조직인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해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09년에는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 직후 공모 혐의를 받아 다시 투옥됐다가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됐다.
1919년 3·1운동 직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경무국장에 선임된 이후 내무총장, 국무령, 주석 등을 역임하는 등 평생을 조국 자주독립에 헌신했다.
독립 이후인 1949년 6월 26일 개인 사저 경교장에서 안두희의 총탄에 맞아 서거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 |
▲추모식식에 참석한 내빈들. 왼쪽부터 김형오, 박광온, 김기현, 이종찬, 박민식 (사진=연합뉴스) |
한편, 이날 추모식은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회장 정양모) 주관으로 열렸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종찬 광복회장,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형오 전 국회의장과 독립유공자 유족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