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인사 청문회 앞두고 여야 입장차
與 "청문회 통해 충분한 소명 기회 주어야", 野 "지명 철회 말라, 청문회서 심판"
![]() |
▲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정부의 초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후보자가 '의혹 백화점'이라는 비판 속에 교육계와 언론계의 거센 사퇴 요구에 직면했다. 논문 표절부터 과거 언론 탄압 행적, 자녀의 미국 국적 문제까지, 교육 수장으로서의 자질과 도덕성을 의심케 하는 논란이 꼬리를 물면서, 오는 16일로 예정된 인사청문회는 이번 '인사청문 슈퍼위크'의 최대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교육계·언론계의 '공공의 적'…거세지는 지명 철회 압박
이 후보자에 대한 반발은 그가 몸담았던 교육계와 언론계 양쪽에서 동시에 터져 나오고 있다. 이들은 이 후보자 지명을 "민주주의와 교육 자치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규정하고 공동 전선을 구축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을 비롯한 100여 개 교육·시민사회단체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이진숙 후보자는 교육을 논할 자격도, 교육 수장이 되어서도 안 될 인물"이라며 즉각적인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이 제기하는 핵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치명적인 논란은 석·박사 학위 논문의 표절 의혹이다. 언론과 학계의 검증 결과, 이 후보자의 논문 곳곳에서 타인의 연구를 출처 표기 없이 그대로 베끼거나 짜깁기한 정황이 다수 발견됐다. 이는 연구 윤리의 기본을 저버린 행위로, 대한민국 교육의 수장을 맡기에는 근본적인 결격 사유라는 비판이 거세다.
언론 탄압 행적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 시절 MBC 기획홍보본부장으로 재직하며 2012년 파업에 참여했던 기자와 PD들을 대거 해고하고 비제작 부서로 전보시키는 등 노조 탄압에 앞장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언론노조는 "공영방송을 정권의 나팔수로 만드는 데 앞장선 '언론 탄압의 실행자'가 어떻게 민주주의 교육을 책임질 수 있는가"라고 반문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또한 자녀를 초등학교 시절부터 미국으로 조기 유학 보냈고, 현재 자녀가 미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대한민국 공교육의 최정점에 서게 될 인물이 정작 자신의 자녀는 한국 교육 시스템 밖에서 키웠다는 사실은 '내로남불'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이는 고위공직자의 도덕성과 교육 정책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 |
▲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
대통령실은 '정면돌파', 여야는 엇갈린 셈법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논란에 대통령실의 기류도 미묘하게 바뀌었다. 초기 '정면돌파' 기조에서 한발 물러나 "인사청문회를 지켜본 뒤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쏟아지는 의혹에 대한 여론의 비판이 예상보다 거세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청문회 결과와 여론의 향방에 따라 지명 철회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대통령실의 입장 속에서 여야의 셈법은 복잡하게 엇갈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곤혹스러운 기색이 역력하지만, "청문회를 통해 후보자에게 충분한 소명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대통령실과 보조를 맞추고 있다.
국민의힘은 오히려 "절대 지명 철회해서는 안 된다"며 벼르고 있다. 청문회를 통해 이 후보자의 부적격성을 낱낱이 파헤쳐, 이재명 정부의 '인사 실패'를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야당 청문위원들은 "후보자 본인은 물론, 그를 추천하고 지명한 대통령까지 국민 앞에 책임져야 할 것"이라며 역대급 송곳 검증을 예고했다.
논문 표절, 언론 탄압, 자녀 문제 등 어느 하나 가볍지 않은 의혹에 휩싸인 이진숙 후보자가 본인의 해명보다는 거센 사퇴 여론과 야당의 날 선 검증 칼날이 더 주목받는 상황 속에서, 과연 16일 청문회의 문턱을 넘어 교육 수장의 자리에 오를 수 있을지 국민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