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조기유학' 사과...'논문 표절' 의혹엔 '이공계 관행'으로 반박 “제1저자 당연”

  • -
  • +
  • 인쇄
2025-07-16 14:53:40
시사타파뉴스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톡 기사 보내기 https://sstpnews.com/news/view/1065588785620907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서 사과와 해명
- 자녀 조기유학 사과 "아이들의 의지가 강했지만 국민께 송구"
- 논문 표절 의혹엔 "제자와의 공동 논문 제1저자 등재는 이공계 관행"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등 논란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7.16 (사진=연합뉴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자녀의 고액 조기유학 문제에 대해서는 고개를 숙였지만, 자신에게 제기된 핵심 의혹인 '논문 표절'에 대해서는 학계의 관행을 들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후보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연구 윤리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지며 교육 수장으로서의 자질 논란은 계속됐다.


"자녀 희망" 조기유학엔 송구…'교육 세습' 비판도


이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의 최대 쟁점 중 하나였던 두 자녀의 조기유학 문제에 대해 "아이들이 오랜 기간 희망해 의지를 꺾을 수 없었다"고 해명하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특히 둘째 자녀가 중학교 졸업 전에 유학을 간 것이 초중등교육법 위반이라는 지적에는 "불법인지조차 인지하지 못했던 저의 큰 실수"라며 거듭 고개를 숙였다.


야당은 이 후보자가 과거 "교육과 부의 세습을 타개하겠다"고 한 발언을 상기시키며, 연간 학비가 1억 원에 달하는 사립 기숙학교에 자녀들을 보낸 것은 위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교육 세습을 완벽하게 이룬 후보자는 공교육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직격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딸들이라 기숙학교를 찾을 수밖에 없었고, 비용은 제시된 것의 절반 수준이었다"고 해명했다.


'논문 표절' 의혹은 부인…"학자적 양심 따랐다"


반면, 이 후보자는 자신의 학자 인생을 뒤흔든 논문 표절 및 제자 연구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그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게 의혹이 생긴 점은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면서도 "지난 30여 년간 학자적 양심에 따라 학문의 진실성 탐구를 해왔다"며 의혹의 핵심을 부인했다.


이 후보자는 제자와 함께 쓴 논문에 자신이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이 '연구 성과 가로채기'라는 비판에 대해, 이는 이공계 학문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한 오해라고 주장하며 "연구프로젝트를 수주한 지도교수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항변했다.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7.16 (사진=연합뉴스)

[팩트체크] 이공계의 '제1저자' 관행은?


이 후보자의 해명은 상당 부분 학계, 특히 이공계 분야의 연구 관행에 기반한다.


일반적으로 이공계 연구는 지도교수가 연구 과제를 수주하고, 연구의 전체적인 설계와 방향을 설정하며, 연구비를 확보해 팀 단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지도교수는 연구의 총책임자(PI, Principal Investigator) 역할을 수행한다.


논문에서 제1저자는 통상 연구를 직접 수행하고 데이터 분석 및 논문 초고 작성에 가장 크게 기여한 사람에게 부여된다. 교신저자는 연구를 총괄하고 교신을 책임지는 지도교수가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 후보자의 주장처럼, 교수가 수주한 대형 프로젝트의 핵심 아이디어와 방향 설정을 교수가 주도했을 경우, 지도교수가 제1저자가 되는 사례가 학계에 존재한다. 학생은 프로젝트의 일부를 자신의 학위논문으로 발전시키는 형태다. 이는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절대적 원칙은 아니며, 최근에는 연구를 직접 수행한 학생 저자의 기여도를 존중해 제1저자로 올리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어 여전히 논란의 소지가 있는 '관행'으로 평가된다.

 

관행' 해명에도 싸늘한 시선…남은 과제는 '국민 눈높이'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여야를 막론하고 비판이 이어졌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나친 욕심을 낸 것"이라고 지적했으며,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스승 입장에서 제자들에게 제1저자를 더 많이 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꼬집었다.


결국 이 후보자는 자녀 문제에 대해서는 낮은 자세로 사과했지만, 자신의 학자적 양심과 직결된 논문 문제에 대해서는 물러서지 않았다. 논란의 핵심이 '실정법 위반'이나 '명백한 표절'이라기보다는, 시대의 변화와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학계의 낡은 관행' 문제로 모아지면서, 향후 교육 수장으로서의 리더십과 도덕성에 대한 평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논문 표절·언론 탄압·자녀 유학…'의혹 백화점' 이진숙, 사퇴 촉구 봇물
이진숙 청문회, '논문 표절' 정조준…청문회 슈퍼위크 셋째날, 교육부 장관에 화력 집중
뉴스댓글 >

댓글 2

  • 밤바다님 2025-07-16 21:37:30
    이진숙씨는 본인이 교육부장관 후보자임을 잊지않기를 바랍니다!!!
  • 깜장왕눈이 님 2025-07-16 17:01:30
    무성했던 안티 소음으로 우려했는데, 우려했던 것 보다는 . . . .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