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공=박선원 의원실) |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이 "윤석열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이재명 대표 피습 테러 사건을 조직적으로 축소·왜곡·은폐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사건의 전면 재조사를 강력히 촉구했다.
두 의원은 사건 직후 현장 물청소 등 증거인멸 정황과, 18cm 흉기를 '커터칼'로 둔갑시킨 국정원 내부 보고서 등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
"18cm 칼이 커터칼로"...'尹 탄핵 하루 전' 작성된 왜곡 보고서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에 대한 국정원의 조직적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국정원이 윤석열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당시 국정원 특보 주도로 작성된 내부 보고서를 문제 삼았다. 해당 보고서는 18cm 길이의 개조 등산용 칼로 발생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사건"으로 축소·왜곡했으며, '정치적 목적'의 범행이라는 법원 판결까지 무시한 채 테러방지법 적용 실익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이다.
![]() |
▲ (제공=박선원 의원실) |
의원들은 김 특보가 과거 조국 전 장관 표적 수사에 앞장섰고, 총선 공천 탈락 후 김건희의 요구로 임명됐다는 '대가성 인사' 의혹을 재차 거론하며, 보고서 작성에 정치적 배경이 있음을 주장했다.
![]() |
▲ (제공=박선원 의원실) |
현장 물청소·상황보고 문자도 축소…조직적 은폐 정황
또한, 의원들은 사건 직후 현장에서 증거보존 조치 없이 물청소가 이루어진 사진과 영상을 공개하며, 국정원 대테러합동조사팀의 직무유기 및 증거인멸 가능성을 제기했다.
![]() |
▲ (제공=박선원 의원실) |
이와 함께 국무조-정실 대테러상황실이 발송한 초기 상황보고 문자에서 범인을 '노인', 흉기를 '과도', 피해를 '출혈 적음' 등으로 사실과 다르게 표현하며 사건의 심각성을 의도적으로 축소했다고 비판했다.
두 의원은 이 사건을 "제1야당 대표의 집권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기획된 정치테러"로 규정하고, 검경의 수사 내용 공개 및 전면 재수사, 국정원의 자체 진상조사, 국무총리실의 테러 여부 재검토 및 대테러합동조사팀 재가동 등 3가지를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 |
▲ (제공=박선원 의원실) |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