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직원 80여 명 파견, 합동조사팀 구성 등 구체적 내용 포함
윤건영 의원 “거짓 해명, 내란 공모 정황”...특검 수사 촉구
![]() |
▲ 국가정보원 청사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비상계엄 당시 국가정보원이 계엄 관련 문건을 생산했다는 의혹을 둘러싸고 국정원과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간의 진실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국정원은 해당 문건이 '비상 시나리오 단순 인용'이라고 해명했으나, 윤 의원은 이를 '거짓 해명'으로 규정하며 철저한 특검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국정원, '실무자 단순 인용' 해명…두 차례 문건 존재 인정
논란의 시작은 지난 8일 윤건영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국정원이 '비상계엄 선포 시 OO국 조치사항'이라는 문건을 생산했으며, 이는 국정원이 계엄사령부 인력 파견 및 합동수사본부 구성에 공모한 정황이라고 주장하면서부터다. 윤 의원은 해당 문건이 국정원 내 계엄 관련 주무 부서에서 작성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국정원은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내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정원은 실무직원이 본인 참고용 문서 1건과 이를 토대로 부서장에게 보고하기 위한 문서 1건, 총 2건의 문건을 작성한 사실은 인정했다. 그러나 문건에 기재된 '직원 80여명 계엄사 파견', '전시 중앙합동정보조사팀 구성' 등의 내용은 비상사태 발생 시 대응 시나리오를 담은 'XX계획'을 단순 인용한 것이며, 실제 인력 파견 계획을 검토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국정원은 계엄 선포 직후 특정 부서 직원 130여 명이 출근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이는 부서장의 지시와 직원들의 자발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며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후 퇴근했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수사 권한의 한계를 언급하며 특검 수사가 진행될 경우 관련 자료를 충실히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
▲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사진=연합뉴스) |
윤건영, '거짓 해명' 강도 높은 비판…내란 공모 의혹 제기
그러나 윤건영 의원은 국정원의 해명에 대해 즉각 "거짓 해명"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윤 의원은 10일 자신의 SNS를 통해 국정원이 처음에는 문건이 1건뿐이라고 했다가 나중에 2건이라고 말을 바꾼 점, 그리고 실무자 단독 작성이라고 주장했으나 부서장과 2차장 보좌관까지 문건을 열람한 점 등을 지적하며 해명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윤 의원은 두 번째 문건이 국회에서 계엄 해제 결의안이 채택된 직후인 새벽 1시 49분에 부서장에게 전송되고 2차장 보좌관이 열람한 시점에 주목했다. 그는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에도 불구하고 윤석열씨가 계엄 해제 선포를 하지 않아 모두가 마음 졸이며 밤을 지새던 그 시간이었다"며, 단순히 참고용으로 볼 수 없으며 이는 "계엄 공모"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문건에 담긴 인력 파견, 합동조사팀 구성, 수사권 확보를 위한 임시 특례법 제정 방안 등이 단순 참고용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하며, "실행할 것도 아닌데 왜 계획을 찾아보고, 왜 그 내용을 손가락 아프게 굳이 인용하여 문서를 만든단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서면 보고' 외에 '구두 보고'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황원진 2차장이 정무직 회의 전 실무자 검토 내용을 구두로 보고받았을 가능성이 "100%"라고 확신했다.
윤 의원은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끝났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오히려 내란의 공모자일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국정원에 스스로 내란 특검에 수사를 요청할 것을 촉구했다. 국정원이 특검 수사 시 자료 제공을 약속한 만큼, 향후 특검 도입 여부와 그 결과에 따라 이번 '계엄 문건' 의혹의 진실이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