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이 중국 외교 부장 (사진=중국 외교부) |
중국 당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가 "중국의 선의를 양보로 여기지 말라"며 거친 표현을 내놓았다.
2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왕 부장과 박진 외교부장의 지난달 31일 전화 통화 내용을 소개하며 "중국은 한국에 대해 정책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얼마전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한국을 향해 '전략적 자주'를 강조하며 한미일 협력 강화에 견제구를 던진 데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신문은 자국 전문가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이번 전화 통화는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 내리막길을 걷는 한중 관계에 대한 한국 정부의 불안을 반영한 것'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상하이 대외경제무역대학 한반도연구센터 잔더빈 주임은 왕 부장이 올해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인 한국의 역할을 지지한다고 말한 점을 언급한 뒤 "한중일 메커니즘에 대해 지지를 표명한 것은 한국과의 관계 발전에 대한 중국의 선의를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한국 정부는 이를 양보의 신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되며 민감한 주제에 대해 추가 도발을 해서는 안 된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박 장관은 중국과의 관계 안정화에 대한 한국의 기대를 전달했지만, 중한 관계의 현상 유지에 대해 도발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도전한 것은 한국 정부"라고 비판한 내용을 담았다.
신문은 또 한중 관계는 중국의 핵심이익인 대만 문제나 남중국해 문제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한국이 이 문제들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끝으로 잔 주임은 "중국이 충분한 선의를 제공했으니 이제 한국이 진정성을 보여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한편, 그 동안 한한령을 통해 한국 관광을 통제했던 중국이 제약을 풀고 관광재개를 시작한 것은 한미일 연합이 지나치게 강화되면서 주변국의 관계가 강대강 국면으로 접어드는 것을 막으려는 제스쳐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를 은퇴한 한 전직 외교관은 "중국의 기조가 바뀐 이유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약 1년간 우리나라와의 교역에서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중국이 흑자를 유지한 것이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중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렇기에 경제 압박으로 '숨쉴 여유'를 찾지 못하는 윤 정부에 길을 열어주며 현실 경제에서 중국의 비중을 깨닫게 하려는 것을 현 정부는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다"면서 안타까움을 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