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주로 반대편서 급히 착륙, 왜?...여객기 추락 상황 재구성

  • -
  • +
  • 인쇄
2024-12-30 01:22:02
이종원 기자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톡 기사 보내기 https://sstpnews.com/news/view/1065543743776492
고도 높인 뒤 180도 기수 돌려 동체 착륙
▲ (자료=연합뉴스)

 

무안국제공항에서 사고가 난 제주항공 여객기가 조난 신호를 보낸 직후 활주로의 반대 방향에서 급히 착륙한 데 대해 정부가 통상적인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본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사고기가 통상적으로는 활주로를 길게 도는데, 짧은 쪽으로 돌아 19활주로 방향(반대 방향)으로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사고기는 이날 오전 8시 57분께 무안공항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활동(충돌) 경고'를 받고서는 2분 뒤인 8시 59분께 메이데이(조난신호)를 보낸 뒤 착지하지 않고 고도를 높이는 복행(復行·고 어라운드)을 했다.

그런데 사고기는 활주로를 한 바퀴 돌아 원래 내리려던 활주로 방향(01활주로)으로 들어가는 대신 곧바로 180도 기수를 돌려 반대쪽에서 진입하는 19활주로로 착륙했다.

이 과정에서 사고기는 랜딩기어(비행기 바퀴)를 펼치지 못하고 동체 착륙을 하며 미끄러지다가 활주로 끝의 외벽과 충돌했다.
 

▲ 29일 제주항공 사고 항공기가 착륙 전 오른쪽 엔진에서 이상 화염이 나오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국토부는 사고기 기장이 활주로 반대편에서 착륙을 시도한 데 대해 "조종사의 판단인지, 관제탑의 지시인지 추후 교신내용 등을 분석해 규명할 것"이라며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급박한 상황에서 최종 판단은 조종사가 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사고 당시 무안공항은 풍향이 110도에 풍속 2노트로, 항공기 진행 방향과 살짝 역방향이긴 하지만 강하지 않은 수준이라서 양방향에서 활주로를 사용할 수 있었다고 국토부는 덧붙였다.

 

국토부는 사고 현장에서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석 음성기록장치(CVR) 등 2종의 블랙박스를 수거해 정확한 원인 규명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무안공항에서는 사고 시점에 조류 충돌 예방 인력 4명이 근무하고 있었고, 이 중 1명이 3교대로 야외에서 감시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고 국토부는 전했다.

이번 사고기의 탑승자는 181명이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공식 사망자 수는 177명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고는 그간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사고 중 최악의 참사로 기록되게 됐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댓글 5

  • 밤바다님 2024-12-30 11:06:11
    대형사고들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넘어가는 일이 다반사인데
    확실하게 다 밝혀내서 희생자분들과 유가족분들을 위해 꼭 진실을 알려주기를 바랍니다...
  • 보름달님 2024-12-30 06:52:45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김영화님 2024-12-30 06:52:13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dianer님 2024-12-30 04:06:53
    가슴 아파요 너무 아파서 잠을 못자겠습니다
  • WINWIN님 2024-12-30 03:37:39
    외신을 봐도 그렇고 정말 의문점이 많은 사고네요ㅠㅠ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