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선 체포대상자' 이재명·우원식·한동훈
![]() |
▲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보 받은 방첩사 체포 명단 (출처=안규백 페이스북) |
12·3 계엄사태 당시 국군방첩사령부가 작성한 체포대상자 명단이 14명이란 증언이 나온 가운데,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명단을 공개했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안 의원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계엄 당시 최초로 제보받은 방첩사 체포 명단을 공개한다"며 "이 리스트를 초기에 입수한 덕분에 즉시 당에 공유해 신속한 대응전략 수립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안 의원에 따르면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3명은 '최우선 체포대상자'로 분류됐다.
이학영 국회부의장과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김민석·정청래 민주당 의원,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조해주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방송인 김어준씨, 김민웅 촛불행동 대표,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11명도 체포 명단에 있었다고 안 의원은 설명했다.
안 의원은 "내란 수괴와 그 공동정범들의 죄를 묻는 과정에서 어떠한 빈틈도 보이지 않겠다"고 했다.
![]() |
▲ 10일 국방위에서 답변하는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 (사진=연합뉴스) |
한편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은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국방위 현안질의에서 체포 명단과 관련한 조국 조국혁신당 의원 질문에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김용현 전) 장관이 직접 명단을 불러줬다며 받아적으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이어 김 단장은 '명단이 14명이냐'는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
김 단장은 이어 “어제 방첩사 압수수색 당시 14명의 명단을 제출했다. (누구인지) 한 명 한 명을 기억하진 못한다”라고 덧붙였다.
김 단장은 “사복 체포조 역시 투입됐다고 하는데 몇 명이냐?”라는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엔 “사복 체포조 49명이 투입됐다”라고 답했다.
그는 이날 오전에는 “처음 받은 지시는 과천의 B1 벙커 안에 구금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는 것이었다. 직접 수방사에 가서 벙커를 확인하라는 직접 지시를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받았다”라고 덧붙였다.
김 단장의 일련의 증언은 계엄 당일 국회의원 및 정치인 체포 관련 구체적 지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언급이다.
앞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지난 3일 비상계엄 발령 후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방첩사를 도와 주요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고 여인형 전 사령관으로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의 명단을 공유받았다고 폭로한 바 있다.
증언들을 정리하면 윤 대통령의 국회의원 및 정치인에 대한 체포 지시가 있었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거쳐 여인형 전 사령관 등에게 하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