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세’ 폐지는 노골적인 친자본 정책이다 [김용택 칼럼]

  • -
  • +
  • 인쇄
2024-01-10 17:00:55
김용택 위원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톡 기사 보내기 https://sstpnews.com/news/view/1065583549268143
윤 대통령의 집권 후 네 번째 부자 감세
▲국회 전경 (사진=국회자료실)

 

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은 참 음흉하다. 

 

법 없이도 사는 착한 국민을 얼마나 잘 속이느냐에 따라 유능한 정치인 여부가 결정되는 걸로 아는 것 같다. 역대 대통령들을 보면 그렇다. 

 

윤석열 정부가 노골적인 ‘부자 감세’ 카드로 내년 도입 예정이었던 '금융 투자 소득세(금투세)'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공매도 금지와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완화책을 발표한 데 이어, 금투세 폐지 추진을 밝힌 것은 4·10 총선을 앞두고 개인 투자자를 겨냥한 포퓰리즘 정책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사진=연합뉴스)


■ 금투세 폐지는 과세 원칙 포기다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는 것은 과세의 기본 원칙이다. 

 

금투세는 주식·채권·펀드 등 금융 투자로 발생한 양도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인데 금투세를 폐지하겠다는 것은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는 과세의 원칙을 뒤집는 일이다. 

 

금투세는 2020년 관련 법안이 국회를 통과해 연간 5000만원이 넘는 차익을 거둔 투자자는 수익의 22~27.5%(지방세 포함)를 세금으로 내도록 돼 있지만 시행된 적도 없다. 

 

2023년 1월 시행하려던 것을 야당이 정부·여당의 주장을 받아들여 2025년 1월로 미뤄놓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새해 벽두부터 ‘부자 감세’ 정책을 들고나왔다. 

 

사상 최악의 세수 펑크로 정부 곳간이 텅 비어서 곳곳에서 비명이 들리는데, 윤석열 대통령은 집권 1년 반 만에 벌써 네 번째 부자 감세다. 

 

지난 2022년에도 대주주 요건을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대폭 완화하는 세제 개편안을 발표한 바 있다. 2013년에 50억원 또는 지분율 2%로 내려갔고, 이후 25억원 또는 1%(2016년), 15억원(2018년), 10억원(2020년)까지 내려온 것이다. 

 

그리고 이번에 네 번째로 주식 부자들과 고액 자산가를 위한 ‘금투세’를 아예 없애겠다는 것이다.
 

■ 윤 대통령이 부자 감세를 못해 안달하는 이유
 

윤 대통령이 부자 감세를 못해 안달하는 이유는 총선을 앞두고 자신들의 지지층인 대자본과 자산계급에 선물을 하려는 보은(報恩)이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신자유주의 이념에 입각한 ‘작은정부론’과 ‘낙수효과론’이다. 

 

작은정부론은 ‘정부의 시장개입이나 규제를 줄이고 상당 부분을 민간의 자율에 맡긴다는 신자유주의 이론으로 역대 박정희 정권에서부터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가 하던 감세정책이다.
 

‘낙수이론’이란 부유층과 사업가들이 경제적인 지원을 통해 보다 활발히 활동함으로써 경제 전반이 보다 개선될 수 있고, 그로 인한 혜택은 저소득층 및 하층민에게도 돌아가게 된다는 주장이다. 

 

기업이 이득을 많이 보면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결국 모든 사람에게 이득이 된다는 이 낙수이론은 이미 실패가 검증된 이론이다. 재벌이나 부자들을 위한 친부자 정책의 다른 이름인 감세정책이 이렇게 교묘하게 빈부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
 

세금을 줄이겠다면 서민들이 가장 좋아한다. 그나마 몇푼 안 되는 근로소득세가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하지만 박근혜나 윤석열 대통령이 줄이겠다는 부자 감세 정책은 서민들의 내는 근로소득세가 아니라 부자들이 내는 법인세다. 

 

부자 감세의 원조는 197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박정희의 ‘복지 없는 감세’였다. 그 후 이명박은 착실하게 박정희의 감세정책을 이어받았고 박정희를 따라 배우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이 받아쓰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죽음과 세금은 피할 수 없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상장주식 양도차익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대단히 독특한 나라다. 

 

즉, 내가 삼성전자에 투자해서 1억 원을 벌어도 1억 원의 양도소득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물론 노동 소득으로 1억 원을 벌면 수천만 원의 세금을 내야 한다. 

 

▲금투세 발표하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 부자가 되는 방법
 

부자가 되는 방법은 열심히 일한 소득을 모아서 부자가 되는 방법과 집값이 올라서 부자가 되는 방법, 주식이 올라서 부자가 되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속을 받아서 부자가 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네 가지 방법 중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열심히 일한 소득을 모아서 부자가 되는 방법이다. 

 

윤 대통령은 “계층의 고착화를 막고 사회의 역동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금융투자 분야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했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살기 바쁜 서민들에게 주식·채권에 투자하라는 얘기인가.
 

윤석열이 집권한 후 추진한 경제정책 중 가장 일관된 정책이 바로 부자 감세일 것이다. 

 

부자 감세는 재정건전성 논리와 결합하여 윤석열 정권의 핵심 경제정책이 되었다. 윤 대통령은 민생 회복을 위해 물가안정,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하겠다고 하지만 그 내용을 뜯어보면 대출 확대와 세제 지원이 주된 내용이다. 

 

경제위기와 불평등 극복을 위한 과감한 확장 재정 등 구조적인 해법은 없이, 부자 감세와 대출 확대, 부동산 규제 완화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조세정책은 노동 소득에만 원칙을 강조한다. 

 

집값이나 주식이 오르거나 또는 상속을 받아서 부자가 될 때는 단 한 푼의 세금을 내지 않을 때도 많다. 총선이 아무리 급해도 금투세 폐지 정책은 철회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댓글 8

  • 짱구 님 2024-01-11 15:03:00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김서님 2024-01-11 11:45:30
    소득이 있는곳에 세금은 당연한거지 에휴 총선용 선거운동
  • 진경압바님 2024-01-11 06:25:50
    김용택 위원님 칼럼 잘 읽었습니다....
  • 박순희님 2024-01-11 03:21:30
    저러는거 총선 개입 같은데~~
  • WINWIN님 2024-01-10 21:57:23
    옛날에는 개천에서 용난다는 것이 그래도 자주 봤는데 지금은 흙수저가 절대 부자가 될수없는 대한민국이 되었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밤바다님 2024-01-10 21:33:33
    오로지 총선에서 표를 얻기 위해서 나라의 경제가 무너지던지 말던지 아랑곳하지않고 기득권들만을 위한 감세 정책만 내지르고 있는 술뚱정부...
    자본가들과 기득권들은 이익을 쫓으려는 자들이니 어쩔 수 없다지만 서민들은 정신 똑바로 차리고 대선 때와 같은 오류를 저지르지말고 소중한 표 행사를 똑바로 잘 해야합니다...

    김용택 위원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 개테라테내스퇄님 2024-01-10 18:24:18
    정말 벌어진입이 다물어지지않는 최악의정부다
  • 민님 2024-01-10 17:36:21
    타고나지 않으면, 일해서 부자되는 방법은 지금 우리나라에는 없습니다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