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발표하는 한국투명성기구 (사진=연합뉴스) |
세계 각국의 국가 청렴도를 평가하는 조사에서 지난해 대한민국은 180개국 중 32위를 차지, 100점 만점에 63점을 얻었다.
전년보다 순위가 한 단계 하락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순위 하락은 2016년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7년 만이다.
반부패운동 비정부단체인 국제투명성기구는 30일 '2023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 대상 180개국 중 국가 청렴도 1위는 90점을 받은 덴마크였고, 핀란드(87점), 뉴질랜드(85점), 노르웨이(84점), 싱가포르(83점)이 2위부터 5위를 차지했다.
2016년 52위(53점)를 기록한 우리나라는 2022년 31위(63점)까지 6년 연속 순위가 상승하다가 지난해 한 계단 하락했다.
51개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한국이 9위로 나타났다.
3위 뉴질랜드(85점)와 5위 싱가포르(83점), 14위를 공동으로 차지한 호주·홍콩(75점)에 이어 16위 일본(73점), 26위를 공동기록한 부탄·아랍에미리트(68점)이었고 대만(67점)은 28위로 우리나라보다 순위가 높았다.
한국투명성기구는 "촛불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던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가 상승 추세를 멈추고 하락한 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특히 "경제·정치 영역과 관련한 지표들이 하락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사회 상층의 '엘리트 카르텔형 부패'가 핵심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다는 점에 비춰볼 때 반부패 청렴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 멀어지는 것이 아닌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한국투명성기구는 "사회 전반의 반부패 노력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는 경고등이 켜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