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정찰위성 5기 확보시 대북 표적 2시간 단위 감시 가능해져
![]() |
▲ 우리 군 세 번째 정찰위성이 21일(현지시간) 발사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우리 군의 정찰위성 3호기가 21일 우주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정찰위성 3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는 이날 한국시간 오후 8시 34분(현지시간 오전 3시 34분)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 |
▲ 정찰위성 3호기 탑재 우주발사체 '팰컨9' (사진=연합뉴스) |
2분 18초 후 1단 추진체가 분리됐고, 이어 48초 후에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분리됐다.
발사 약 50분 만인 9시 24분 팰컨9의 2단 추진체에서 분리돼 우주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한 정찰위성 3호기는 11시 30분 해외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
![]() |
▲ 우리 군 정찰위성 3호기 발사 (사진=연합뉴스) |
지상국과 교신은 팰컨9가 발사된 지 2시간 56분 만으로, 우리 군 정찰위성 3호기의 발사 성공이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정찰위성 3호기는 수개월간의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 군정찰위성 사업 (제공=국방과학연구소) |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는 작년 12월 2일 발사됐고, 올해 8월부터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 중이다. 2호기는 올해 4월 8일 발사됐고, 내년 2월에 정상 임무에 돌입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3호기 발사 성공에 대해 "우리 군은 세계 최상위 수준의 독자적인 SAR 위성을 추가로 확보하게 돼 한국형 3축 체계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한국형 3축 체계란 적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발사 전에 제거하는 '킬체인'에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와 대량응징보복(KMPR)을 더한 개념이다.
425 사업에 따라 정찰위성 5기가 모두 실전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