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민주당에 정권 헌납 할 수 없다"
홍준표,윤석열한동훈 동시 저격 "차라리 당 해체하라"
![]() |
▲ 6일 국민의힘 긴급최고위원회의 (사진=연합뉴스)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6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에 사실상 찬성하는 쪽으로 급선회하고, 친윤(친윤석열)계의 반발이 나오면서 여권이 요동치고 있다.
한 대표는 이날 자신이 소집한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로이 드러난 사실들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직무집행정지 방법에는 자진사퇴 또는 탄핵이 거론되는데, 현재까지 윤 대통령에 자진사퇴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는 바 오는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가결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 대표는 전날까지만 해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계엄 당시 주요 정치인들을 체포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면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이 지난 계엄령 선포 당시 자신의 충암고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주요 정치인들을 체포하도록 지시했고, 윤 대통령이 이를 위해 정보기관을 동원했다며 "신뢰할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경우 이번 비상계엄 같은 극단적 행동이 재연될 우려가 크고, 그로 인해 대한민국과 대한민국의 국민을 큰 위험에 빠뜨릴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여 사령관을 포함해 계엄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군 인사들에 대한 인사 조처를 하고 있지 않은 점 등 미루어 '2차 계엄' 가능성도 있다고 본 것이다.
한 대표의 입장 선회에 일부 친한(친한동훈)계 인사들도 동조하고 나섰다.
친한계 조경태 의원은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직무 정지를 빨리 해야 한다"며 탄핵소추안 표결을 위한 본회의도 당겨야 한다며 한 대표 입장에 동조했다.
그러나 친윤계는 '탄핵 신중론'을 펴고 있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한 대표가 발언을 마치자 마이크를 잡은 뒤 "최고위원으로서 사실관계를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사실관계 확인이 되면 그다음 단계에서 대응을 말씀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추경호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가 참여한 사전 최고위에서도 한 대표의 발언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판단하자'는 친윤계와 한 대표가 격론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추 원내대표는 최고위 직후 의원총회를 소집해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에 "비상계엄은 잘못됐다" 면서도 "이대로 무기력하게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에 정권을 헌납할 수는 없다"고 탄핵 반대 의견을 밝혔다.
한편 홍준표 대구시장은 6일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논의가 이뤄지는 데 대해 "또다시 나락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 |
▲ 홍준표 대구시장 (싸진=연합뉴스) |
홍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박근혜 탄핵 당시 탄핵 찬성 세력들이 바른정당으로 간 것을 언급하며 "한국의 보수진영은 탄핵 대선 때 궤멸 지경에서 겨우 연명하기는 했으나, 그 후 대선, 지방선거, 총선에서 연달아 참패하고 적폐 세력으로 몰려 소수당으로 전락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때 적폐 청산의 선봉에 섰던 지금의 용병을 지난 대선을 앞두고 영입해 경선을 치를 때 나는 그것을 지적하며 당원과 국민들을 설득했으나, 당원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후보 자리를 내줬다"고 했다.
이어"우여곡절 끝에 근소한 차이로 정권을 탈환했으나, 당은 또다시 용병 한 사람을 영입해 이번에는 용병끼리 헤게모니 다툼으로 또다시 8년 전 탄핵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를 용병에 빗댄 것이다.
홍 시장은 "이미 두 달 전부터 박근혜 탄핵 전야로 가고 있다고 경고했는데도, 그걸 알아듣지 못하고 당과 나라는 또다시 나락으로 가고 있다" 며 "그럴 바엔 차라리 당을 해체하라. 그런 인식 수준으로 너희들은 한국 보수정당을 운영할 자격 없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