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민수 대변인과 김민석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은 내달 4일로 예정된 2025년도 예산안 관련 국회 시정연설에 윤석열 대통령이 불참하고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소식에 "언제까지 공사 분간 못하고 국민과 국회를 무시할 셈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27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가 윤 대통령의 2025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에 대한 입장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히며 불참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2013년 이후 11년 만에 총리가 시정연설문을 대독하게 되는 역사를 남기려 하나"라고 물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도 예산안부터 2024년도 예산안까지 대통령이 직접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해왔고 윤 대통령은 취임 후 2023년도 예산안과 2024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직접 했다.
한 대변인은 "2023년과 2024년 시정연설은 맹탕이긴 했지만, 윤 대통령이 직접 국회를 찾아 예산의 필요성을 설명했다"며 "이제는 그마저도 하지 않겠다니 어처구니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위해 협조를 구해야 할 상대는 김건희 여사가 아니라 국회임을 똑똑히 알아야 한다"며 "즉각 국회 시정연설 참석 의지를 밝히고, 국민과 국회 앞에 서서 내년도 국정 운영 계획을 책임 있게 설명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 25일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취재진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이 2025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야권의 관측에 대해 대통령실은 "현재로선 아무 것도 정해진 바가 없다"고 밝혔다.
여권에서는 김건희 특검법 재표결과 다음달 2일로 예정된 '김건희 국정농단 범국민 규탄대회' 등 여론몰이 속에서 시정연설에 참석하는 게 큰 의미가 있겠느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내부적으로 당 지도부, 국회의원, 시·도당위원장, 지역위원장, 지역위원회 당원 등의 참여를 독려하는 등 서울 숭례문 인근에서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예산안 시정연설은 국민들에 내년도 예산의 씀씀이를 설명하고, 야권의 협조를 당부해야 하는 자리인 만큼 정국 구도와 무관하게 대통령이 국회에 참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달 2일 열린 22대 국회 개원식에 불참했다.
대통령이 국회 개원식에 불참한 것은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이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