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1 벙커에 선관위 직원들을 감금할 방 50개 가량 확보하라"
비상계엄 선포 전 3일 밤 9시에 38명 회의 집합
![]() |
▲ 3일 비상계엄 직후 선관위에 배치된 계엄군 (선관위 제공) |
4성 장군 출신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3 내란사태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침투한 국군정보사령부(정보사) 요원들에게 ‘선관위 직원 30명을 무력 납치해 비(B)-1 벙커로 데려오라’는 임무가 주어졌었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 의원은 이날 한 방송에서 여러 경로로 확인한 제보라며 “정보사 요원들의 첫번째 임무눈 선관위에 가서 과장들하고 핵심 실무자 30명을 무력으로 제압하고 케이블타이로 손목과 발목을 묶고 복면을 씌워서 비-1 벙커로 데리고 오라(는 내용이었다)”고 주장했다. 또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벙커로 데려갈 선관위 직원 30명 명단을 다 불러줬다”고도 했다.
김 의원은 정보사 요원들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인 3일 밤 9시께 모였고, 회의실 집합 인원은 38명에 이르렀다고 했다. “주로 에이치아이디(HID·정보사령부 산하 특수부대)를 포함해 소령, 중령급 장교들이 주로 많았다. 외부 공작이라고 하는데 공작요원과 에이치아이디를 포함해 38명이었다”는 것이다.
![]() |
▲ 선관위CCTV에 찍힌 정보사령부 장교 등이 선관위 전산 서버 촬영 모습 (출처=행안위) |
그는 “집결하니 저녁 9시쯤 정보사령관이 ‘조금 있으면 중요한 임무가 떨어진다”며 “저녁 10시30분 대통령 비상계엄 담화를 듣고 ‘임무는 내일 아침 5시에 출발해서 선관위에 5시40분에 도착한다. 그 자리에서 확인해서 바로 30명 리스트에 맞게 데려오라’는 임무를 줬다”고 했다. 그는 이를 위해 민간 차량 20대가 준비됐고, 비-1 벙커에 선관위 직원들을 감금할 방 50개 정도를 확보하고 있으라는 임무도 주어졌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38명 이 인원들이 결사대라고 보면 된다. 점조직으로 다 포섭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수 임무가 있는데 네가 이렇게 참가하겠느냐’ 개별적으로 의견을 묻고 출신 고등학교와 출신 지역이 어디까지냐 체크했다”며 “(제보자가) 가서 보니까 주로 특정 지역에 있는 인원들은 거의 안 보였다”고 했다. 진행자가 ‘호남 지역 출신은 배제했다는 이야기인가’ 묻자 김 의원은 “그런 식으로 (제보자) 본인은 증언했다”고 답했다.
그는 “저도 믿기지 않아서 여러 확인할 만한 루트로 확인했고, 실제 그 회의장에 있었던 인원들의 제보도 받았다”며 “거기에 깊숙이 관여돼 있었던 인원의 일종의 양심 고백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 |
▲ 문상호 국군정보사령관(육군소장) (사진=연합뉴스) |
김 의원은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관련 정황 은폐를 시도 중이라는 주장도 폈다. 그는 “(국회) 국방위 끝나고 나서 문 사령관이 국방위에서 얘기한 수준만 얘기하라고 (다른 사람들한테) 얘기한 것 같다”며 “지금은 대령급까지 핵심 대령 2명은 수사를 받고 있고 그 밑에는 아직 수사가 연결이 안 된 것 같다. 그래서 중령급 인원이 개별적으로 만나서 그 38명을 회유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12·3 내란사태 이틀 전인 지난 1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과 문 사령관이 햄버거 가게에서 만나 선관위 장악 등 비상계엄 관련 작전을 사전 모의했다는 정황을 두고 김 의원은 “공작할 때 사람이 많이 붐비는 데서 얘기해야 도감청에 자기들 (목소리) 그게 안 들린다고 한다”며 “(일부러 소음이 많은 데서 본 건) 공작의 기본 원칙”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