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폐배터리 폭발 20살 병사 얼굴 다쳐… 軍·제조사 모두 '잘못 없다'

  • -
  • +
  • 인쇄
2024-05-11 08:00:44
이현일 기자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톡 기사 보내기 https://sstpnews.com/news/view/1065580896900368
업체 "부대의 관리상 문제" 지적…군은 '관리에 문제없었다' 입장 맞서
취재가 시작되자 "치료비 등을 위로 차원에서 지원할 의향이 있다"
▲군용차 폭발사건 CG (사진=연합뉴스)

 

군에서 차량 배터리 폭발 사고로 20살 병사가 얼굴을 크게 다쳤는데 군 당국과 배터리 제조사는 모두 잘못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이 피해자가 일단 자비를 들여 치료받는 일이 벌어졌다.

11일 육군과 배터리 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30일 오후 경기도 김포시 육군 모 부대 내에서 군용차 배터리가 폭발했다.

이 사고로 파편이 튀면서 당시 일병이었던 A(20) 상병이 각막·입술·뺨 등 얼굴 여러 부위를 다쳤다. 자대 전입 2개월 차 시점이었다.

A 상병은 2.5t 군용차의 폐배터리를 창고로 옮겨 내려놓는 작업을 하던 중 사고를 당했다.

사고 직후 A 상병은 민간병원 응급실로 이송됐고 각막에 들어간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료를 받았다.

입술과 뺨 등이 찢어져 봉합 수술까지 받아야 했고, 여전히 흉터가 남아 추가로 원상 복구를 위한 성형외과 치료를 받고 있다.

배터리를 수거해 자체 조사한 제조사는 배터리 자체 하자가 확인되지 않아 보상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제조사 측은 "정전기가 쉽게 일어나고 환기가 잘 안되는 철제 컨테이너가 폐배터리 보관 창고였다"며 "이동 과정에서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정전기와 함께 폭발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군의 안전 관리가 부실했다는 의미다.

군은 A 상병이나 부대 차원의 잘못은 없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조사 측 분석과 달리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는 셈이다.

육군본부는 지난달 전공상심사위원회를 열어 A 상병이 '공상'(군 복무 중 다침)에 해당한다고 결정했다. 사고 초기 발생한 치료비도 지원했다.

그러나 부상 치료를 넘어서는 흉터 제거 진료 등에 대해서는 비급여 항목으로 판정될 경우 규정상 지원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입장이어서 피해자 측이 반발하고 있다.

 

일단 A 상병은 사비로 흉터 치료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복무하면서 이따금 외출해 치료받고 있는데 이미 치료비로 사비 100만원을 썼고, 향후 700만 원 이상 비용이 예상된다고 한다.


A 상병 측은 얼굴에 평생 흉터가 남을 수 있는데도 모두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A 상병 부친은 "앞으로도 사비를 들여야 하는 데다가 흉터가 완전히 제거될지도 미지수"라며 "군부대가 안전 장비도 없이 위험한 일을 시켜 놓고 모른 척하는 게 원통하고 화가 치밀어 오른다"고 말했다. A 상병은 사고 당시 보안경 등 보호장구를 지급받지 못했다.

제조사는 취재가 시작되자 A 상병 측이 제기할 수 있는 국가배상 소송 등과 무관하게 "치료비 등을 위로 차원에서 지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현일 기자
이현일 기자 시사타파뉴스 기자 이현일 입니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댓글 3

  • WINWIN님 2024-05-11 18:42:53
    지금까지 병사책임으로 몰고 치료비조차 지원하지 않다 언론에서 다루기 시작하니 이제서야ㅜㅜㅜㅜ
  • 박민서님 2024-05-11 12:42:41
    군에서 다쳤는데 누가 책임지냐?국가 기관이 다썩어 문드러 져 있네~~~군이책임지고 보상도 해줘라 썩은 정부 굥굥굥
  • 민님 2024-05-11 12:22:25
    군 부대에서 사고가 발생 했으면 일단 군에서 사고 병사 치료에 먼저 전념을 해야지, 문제가 생겼는데 문제 없었다는 헛소리는 뭔지... 나라가 나라가 아니다 진짜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