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장원 '체포지시' 폭로 당일, 경호처장과 통화 후 비화폰 원격 삭제에 관여
- 윤석열 '가족 및 변호인 제외' 모든 접견 금지'옥중 여론전' 차단
![]() |
▲ 김건희가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천 만찬에서 당시 조태용 주미대사와 대화하는 모습 2023.3.27 (샤진=연합뉴스) |
12·3 비상계엄 사태의 진상규명을 위한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칼날이 내란 혐의를 넘어, 사건 이후의 '조직적 증거인멸' 의혹으로 향하고 있다. 특검은 16일, 윤석열의 비화폰(암호화 휴대전화) 기록 삭제에 관여한 혐의로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의 주거지 등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와 동시에, 조사를 거부하며 버티는 윤석열에 대해서는 '가족·변호인 외 접견금지' 조치를 내리며 전방위 압박에 나섰다.
'증거인멸'의 핵심, 조태용 前원장 강제수사 착수
박지영 특검보는 16일 브리핑을 통해 "금일 오전 7시부터 내란 후 증거인멸과 관련해 조태용 전 원장의 주거지를 포함한 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특검이 조 전 원장을 정조준한 배경에는 '비화폰 원격 삭제' 의혹이 자리 잡고 있다. 사건의 핵심 증거인 윤석열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등의 비화폰 정보는 계엄 사태 사흘 뒤인 12월 6일 원격으로 로그아웃(초기화) 처리됐다.
공교롭게도 12월 6일은 홍장원 전 차장이 국회 정보위에서 "윤석열이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지시했다"는 충격적인 폭로를 한 바로 그날이다. 특검은 홍 전 차장의 폭로 직후, 조태용 전 원장이 박종준 전 대통령실 경호처장과 통화한 정황을 포착했다. 그리고 이 통화 직후 국정원이 경호처에 '보안 조치' 필요성을 전달했고, 곧바로 비화폰 기록이 삭제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결국 특검은 조 전 원장이 홍 전 차장의 폭로로 드러난 결정적 증거, 즉 윤석열의 '체포 지시' 통화 기록을 없애기 위해 경호처와 공모했다고 보고 강제수사에 착수한 것이다.
![]() |
▲ 윤석열 (사진=연합뉴스) |
尹 '옥중 여론전' 차단…모스 탄 접견 불발
한편, 특검은 구치소에서 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윤석열의 외부 접촉을 차단하는 강수를 뒀다. 박 특검보는 "어제부로 기소 시까지 윤석열에 대해 가족 및 변호인을 제외한 접견을 금지하도록 했다"며 "이는 일반 피의자에게 적용되는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조치로 인해, 윤석열령이 이날 접견할 예정이었던 '부정선거' 음모론자인 모스 탄(한국명 단현명) 미국 리버티대 교수와의 만남은 불발됐다. 이를 두고 법조계에서는 특검이 윤석열이 구치소 외부 인사들과 접촉하며 벌이는 '옥중 여론전'을 차단하고 수사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특검팀은 조태용 전 원장에 대한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그를 소환해 비화폰 삭제를 지시하거나 요청한 배경과 그 과정에 윤석열의 직접적인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