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중요 자료 100년 후에나 디지털화 되면 무슨 수용?

  • -
  • +
  • 인쇄
2024-10-23 10:11:18
서희준 기자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톡 기사 보내기 https://sstpnews.com/news/view/1065575502038032
방대한 독립운동사 자료의 디지털 전환, 예산부족으로 지연 중
▲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독립기념관이 소장하고 있는 310만 면의 독립운동사 자료 중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50만 면만 디지털화 된 가운데, 예산 부족으로 나머지 소장 자료의 텍스트와 이미지 디지털화를 완료하려면 앞으로 100년여년은 훨씬 넘게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독립기념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독립기념관은 문서류 45,816점, 사진필름류 26,515점, 전적류 22,122점 등 10만 7천여 점, 총 310만 면에 달하는 방대한 독립운동사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디지털화된 자료는 점 수로는 71.6%(76,283점), 면 수로는 48.3%(약 150만 면)에 불과하다. 

 

특히, 민용호 의병장의 항전 사실을 기록한 ‘관동 창의록’과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김병조 선생이 저술한 ‘한국독립운동사략’ 등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중요 자료들도 아직 디지털화하지 못한 상태다.

 

▲ 이미지 미구축 중요 독립운동 자료목록 (출처 = 독립기념관)

조 의원은 "독립기념관의 디지털화 예산은 1.7억 원으로, 이 예산으로는 연간 신규 수집자료를 우선 디지털화 하면 기존 소장 자료는 약 1만 면의 이미지 자료 구축만 가능하다는 것이 독립기념관의 설명"이라고 지적했다. 즉, 나머지 160만 면을 모두 이미지와 텍스트를 디지털화하는 데 이 속도라면 100여년이 훨씬 넘게 걸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조 의원은 “이는 디지털 시대에 걸맞지 않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소중한 독립운동사 자료를 보존뿐만 아니라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접근해야 하는 데 그러기 위해서는 이 자료들이 훼손되기 전에 디지털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화는 단순히 자료를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원문 텍스트화 및 번역 작업을 통해 누구나 쉽게 자료를 이용할 수 하는 작업”이라며 “정부는 독립기념관의 디지털화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인력과 장비를 지원하여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서희준 기자
서희준 기자 정치부 서희준입니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댓글 4

  • WINWIN님 2024-10-23 22:06:28
    기사 감사합니다
  • 민님 2024-10-23 18:13:41
    그러네요! 왜 예산지원이 그렇게 터무니 없는 것인지...빠르게 추진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깜장왕눈이 님 2024-10-23 13:23:20
    밀정놈들 모두 청산해야 우리의 미래가 있다.
  • 사랑하잼님 2024-10-23 12:35:38
    디지털 정보 시대에 아카이빙 실패는 소실이자 자동 삭제라는. 국고가 엄한 데로, 역대급 (슬퍼요)

    3줄 100(년)여년 *^^*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