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잠·우라늄 재처리·전작권 등 “전례 없는 안보 성과” 강조
한미 통상·안보 협의 타결...전문직 비자·재외국민 보호도 과제로 제시
![]() |
| ▲ 강경화 주미대사가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한국문화원에서 한국 특파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11.18 (사진=연합뉴스) |
강경화 주미대사는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부임 후 첫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한미 간 대북정책 공조와 안보·통상 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 대사는 “우리 정부는 미국과 함께 피스메이커이자 페이스메이커로서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의 여건을 성숙시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며 “대사관은 미측과 긴밀히 소통해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경주 APEC 정상회의 기간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무산된 데 대해선, “북미 접촉은 한미 간 사전 협의가 원칙”이라며 “관련 동향을 미 행정부와 계속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대사는 특히 핵추진 잠수함(원잠) 건조 추진, 우라늄 농축·재처리 권한 확대, 전작권 전환 문제, 미 군함 국내 건조 기반 형성 등을 “전례 없는 굵직한 안보 성과”라고 평가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 역시 “호주와 달리 한국은 핵연료만 제외하면 원잠 건조 기술력을 이미 갖추고 있어 비교가 어렵다”고 강조했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 발표된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에 대해서도 “상호 호혜적 무역 확대와 첨단산업 전반의 협력 기반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비자 문제와 관련해 강 대사는 “현재 B1 비자를 통한 활동 범위를 명확히 했으며, 한국인 전문직 비자 쿼터 확보 등 근본적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재외국민 보호와 관련해선 최근 미국에 억류됐던 한국 과학자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 국민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미국과의 소통 채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광주는 뜨거웠다...이재명, 집중유세 및 5.18 민주화 항쟁 45주년 전야제 [현장스케치]](/news/data/20250521/p1065586026697335_578_h2.jpeg)
![대통령이 어지럽힌 나라, 고통은 국민이 뒷수습은 민주당이...분노한 100만 시민 "尹 파면하라" [현장스케치]](/news/data/20250316/p1065611563950515_919_h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