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중국 상무부 “관세전쟁 원치 않지만 단호히 상응 조치” 맞불 성명
트럼프 “중국을 해치려는 게 아니라 돕고 싶다” (SNS 글)
![]() |
▲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좌)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연합뉴스) |
미국과 중국이 다시 관세 전면전을 앞두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부터 중국산 제품에 100%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중국 정부는 “미국이 고집을 꺾지 않으면 단호히 상응 조치하겠다”며 맞대응을 선언했다.
중국 상무부는 12일 성명을 통해 “우리는 관세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두려워하지도 않는다”며 “미국이 잘못된 조처를 바로잡지 않는다면 중국도 자국의 정당한 권익을 지키기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 하루 만에 나온 것으로, 시진핑 국가주석 등 최고지도부의 직접 결정을 거친 결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2025년 들어 다시 고조되는 ‘2차 미중 관세전쟁’이 현실화되는 양상이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삼은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해서도 “국제법과 규정에 따른 정상적 조치”라며 “민간용 합법 수출은 계속 승인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미국의 중국 선박 대상 항만 요금 부과에 대응해 “14일부터 미국 선박에도 특별 요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 모든 게 잘될 것”이라며 한 발 물러서는 듯한 메시지를 내놨다.
그는 “시진핑 주석은 잠시 안 좋은 시기를 겪고 있을 뿐이며, 나 역시 중국이 불황에 빠지는 걸 원치 않는다. 미국은 중국을 해치려는 게 아니라 돕고 싶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는 강경한 관세정책 기조 속에서도 협상의 여지를 남겨둔 유화적 제스처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1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은 유지하고 있지만, 그때까지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며 시 주석과의 협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제이디 밴스 미국 부통령 역시 “이번 사안은 매우 섬세한 외교적 춤이 될 것”이라며 “중국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갈등이 완화될 수도, 전면전으로 번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제조업 회복과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기 위해 대중 강경노선을 다시 띄운 것으로 분석하면서도, “동시에 시장 불안을 막기 위해 협상 신호를 보내는 절묘한 계산이 깔려 있다”고 보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