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지명된 김영호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사진=연합뉴스) |
신임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영호 교수가 '흡수통일' 추진을 지지한다던 입장을 바꿨다.
김영호 후보자는 “통일부 역할에 변화가 필요하다”며 남북 대화보다는 인권과 자유민주주의 등을 우선 가치로 상정하며 대북 압박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지난달 초 자신의 유튜브 '김영호교수의 세상읽기' 채널에 올린 영상에서는 "한국과 미국은 북과의 대화에 기대를 걸기보단 이 교착상태를 활용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더욱더 강력한 억제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또 2019년 2월 인터넷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은 북한 전체주의 체제 파괴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적었다.
같은 해 4월에는 "김정은 정권이 타도되고 북한 자유화가 이루어져서 남북한 정치 체제가 ‘1체제’가 되었을 때 통일의 길이 비로소 열리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는 후보자 지명 이전에 주장했던 ‘김정은 정권 타도’, ‘1체제 통일론’을 언급한 것이 ‘흡수통일론’ 아니냐는 질문에 “북한에 어떤 변화가 왔을 때를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강압적인 흡수통일은 대한민국도 추진하고 있지 않다. 정부는 평화적인 점진적인 평화통일을 지향한다”고 선을 그으며 이전과는 다른 주장을 펼쳤다.
김 후보자는 지난달 30일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통일의 당사자이고 주체인 우리가 북한 주민의 어려움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한 인권 문제로 북한을 압박해야 통일을 앞당길 수 있다’는 과거 입장에 변함이 없냐는 질문에 “윤석열 정부는 글로벌 중추국가를 지향하기 때문에 북한 인권뿐 아니라 보편적 관점에서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의 해명과 더불어 “원칙 있는 대북 정책과 일관성 있는 통일 전략을 추진해 나갈 적임자”라는 대통령실 측 설명에도 불구하고 야권에서는 윤 정부의 첫 개각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 |
▲이재명 당 대표와 김은경 혁신위원장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김정은 체제 파괴를 주장하고, 친일 독재를 미화했다"면서 "제주 4·3 사건을 좌파 세력이 대한민국 성립에 저항한 반란으로 규정했던 대안 교과서 필진이기도 하다"며 김 후보자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한 "극단적 남북 적대론자로 평가 받는 이런 인물이 평화통일 기반을 마련하고 남북 대화에 앞장서야 하는 통일부 장관 적합한 인사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하며 “극우 발언에, 극우 유투버에, 극우 인사에, 극우 정책에, 그리고 극우 정권, 극우 대통령까지 나라가 참 걱정”이라고 말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역시 "극우적 시각과 적대적 통일관을 갖고 있는 반(反)통일적 인물"이라고 김 후보자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