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익위원회 홈페이지 (화면 캡쳐=시사타파뉴스) |
이번에도 검사, 그것도 대통령과 같이 대검 중수부에서 일했던 김홍일 전 고검장이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물망에 올랐다.
대통령실이 차기 국민권익위원장으로 김홍일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전 부산고검장)를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전현희 권익위원장은 이달 27일 임기 만료로 물러난다.
김 전 고검장은 검찰 내 대표적인 강력, 특수통이다. 검사 시절 지존파 납치·살해 사건과 영생교 신도 암매장, 대구지하철 방화사건 등 주요 강력 사건을 맡았다.
2007년 서울중앙지검 3차장 당시엔 이명박 전 대통령(MB)의 도곡동 땅 차명보유 의혹 수사를 지휘했다. 2009년 대검 중수부장으로 발탁돼 2011년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총괄했는데, 당시 윤 대통령이 대검 중앙수사 2과장이었다.
2013년 부산고검장을 마지막으로 검찰을 떠나 현재는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 |
▲권익위원장 물망에 오른 김홍일 전 고검장 (사진=연합뉴스) |
충남대 법학과를 졸업한 김 전 고검장은 검사 시절 조직 내 신망이 두텁고, 뚝심 있는 수사 스타일로 통솔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알려졌다.
지난 대선에는 윤석열 캠프에서 정치공작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네거티브 대응을 맡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권익위 업무인 민원, 제안, 청원 등 상당 부분은 법률과 관련이 있다"며 "법률 행정에 깊이 관려한 사람이 아니면 (업무 해결이) 쉽지 않다"고 했다.
전현희 현 권익위원장 역시 치과의사이자 변호사로 18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현재 사무처장에는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였던 정승윤 부위원장이, 고충·민원 담당으로는 부산지방법원 부장판사였던 김태규 부위원장이, 중앙행정심판위원장으로는 서울고등법원 판사였던 박종민 부위원장이 있다.
만약 김 전 고검장이 권익위원장이 된다면 권익위의 결정권자는 판사 출신 2명, 검사 출신 2명으로 구성되는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전 고검장이 권익위원장으로 임명된다면 윤 정부가 또 다시 검사 출신을 기용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