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국회본회의에 참석한 정청래 의원 (사진 출처=연합뉴스) |
정청래 과방위원장이 행안위원장-과방위원장 직을 '맞교대'하기로 한 합의가 지켜지지 않은 것에 관해 유감을 표했다.
정 위원장은 "1년 전 맞교대하기로 했던 분명한 합의가 있건만 참 별일이 다 있다. 매우 유감스럽다. 그러나 꺾이지 않고 가겠다"라고 적었다.
더불어민주당의 일부 위원 들이 자당 몫 상임위원장 교체 문제를 놓고 잡음을 일으키고 있다.
위원장 교체 대상 상임위인 교육·행정안전·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보건복지·환경노동·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7곳 중 민주당 몫은 과방위를 뺀 6곳이다.
여야는 30일 본회의에서 교육·행정안전·보건복지 등 민주당 몫 3자리와 여당 몫인 과방위 위원장을 선출하기로 하고 본회의 안건까지 만들었다.
교육위원장에 박홍근 의원, 행정안전위원장에 정청래 최고위원, 복지위원장에 한정애 의원이 각각 내정된 상황이었다.
그러나 본회의 개최 30분 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 인선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온 데 따라 위원장 선출이 보류했다.
![]() |
▲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의 남부지법 출석모습 (사진 출처=연합뉴스) |
의총에서는 기동민·허영 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 들이 위원장 선출과 관련해 토론이 더 필요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의총 참석자들중 일부는 박수로 동의의 뜻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김한규 원내대변인은 "여러 의원이, 국민들이 쇄신과 혁신을 기대하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조금 더 당내 논의를 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줬다"며 "오늘은 민주당이 추천한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은 진행하지 않고 당내에서 좀 더 논의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여야는 작년 7월 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시 행안위와 과방위원장에 대해선 1년씩 번갈아 맡기로 했다.
차기 과방위원장으로는 현 행안위원장인 장제원이 선출됐다.
정 위원장은 작년 과방위원장 직무를 시작할 당시에도 '최고위원이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는 것은 관례'라는 당내 비판에 직면했었다.
하지만 정 최고위원이 과방위와 행안위를 1년 단위로 맞교대하기로 한 여야 합의에 따라 행안위로 옮겨 위원장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관련하여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위원장 자리가 주요 자리에 앉지 못한 의원들에게 배분해야 하는 자리냐”며 “타당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법사위원장을 군소리 없이 넘기자고 주장했던 일부 세력이, 이번에는 1년도 안 되어 자신들이 자리를 탐하고자 말을 바꾸는 중”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