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상민 행안부 장관(사진=연합뉴스)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태원 참사 유족에 사과할 의향이 있음을 밝히면서도 특별법에는 선을 그었다.
사과할 생각은 있지만 유가족을 만난 적은 없고, 국회에서 특별법으로 처리하는게 옳다는 이중적인 이 장관의 태도에 국감에서는 질책이 이어졌다.
26일 국회 행안위 국정감사에서 이 장관은 송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대통령 모시고 유가족들을 만날 의향이 있냐”고 묻자 “그럴 의사가 당연히 있다”고 답했다.
지난 10일 열린 행안위 국감에서 "(유족들에게) 아무리 사과해도 부족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데 이어 재차 고개를 숙였다.
이해식 민주당 의원이 "피해자를 만나지도 않는데 어떻게 대책이 나오냐"는 비판에는 “지난해 11월 초부터 여러 차례 피해자 측과 연락했으나 만나지 못했다"며 "피하거나 만나지 않으려 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고 해명했다.
“직접 만나자고 제안을 했냐”는 질의에는 "행안부에 진단장을 통해 여러 차례 그렇게 했다"고 말했다.
김교흥 행안위원장은 "유가족 측은 이 장관이 진정한 사과와 함께 만나자고 하면 만날 용의가 있을 것"이라며 "1주기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 적극적으로 꼭 만났으면 좋겠다. 그게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이어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둔 소회나 아쉬웠던 점, 다짐 등을 묻자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큰 슬픔을 겪는 유가족에게도 다시 한번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다만 "이태원특별법에 협조하고 같이 할 의사는 있느냐"는 송 의원측 물음에는 "국회에서 논의를 하는 것이 맞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 윤희근 경찰청장은 참사 직후 책임 소재에서 벗어나는 방안을 논의한 메시지를 주고받은 데 대해 “누가 (문자를) 보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상대가 윤석열 대통령 혹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윤 청장은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누가 문자를 보냈냐’고 묻자 “언론 보도를 보고 텔레그램을 확인했는데, 제 전화에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았다”고 답했다.
권인숙 민주당 의원은 “이 장관이 이태원 참사 관련 애도 말씀을 전했는데 이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이 이 자리를 지키고 국감을 받고 있는 것, 이게 유족들에게는 가장 큰 아픔이고 치유되지 않은 상처”라며 “애도의 말씀을 할 마음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지금이라도 두 분이 책임을 공감하고 사퇴하는 게 맞다”고 일갈했다
천준호 민주당 의원은 "경찰의 조직적 은폐 시도가 확인되고 있는데도 경찰청장과 서울경찰청장이 직을 유지하고 있다. 경찰청장이 대규모 시위 날 서울을 비운 것도 초유의 일이고 그 상황에서 자기에게 메시지가 온 것도 기억 못하는 것도 초유의 일"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윤 청장은 “1년 전을 돌이켜보면 여러 가지에 대해 굉장히 아쉽고 스스로 회한이 드는 게 사실”이라며 “입이 열개라도 유족이나 희생된 분들에 대해 송구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