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기간 선포 (사진=연합뉴스) |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가 서울광장에 마련된 분향소에서 10·29 이태원참사 1주기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사 1주기를 앞둔 16일 유가족들은“참사의 진상 규명에 여야가 어디 있는가. 국민의 대표인 국회가 진상규명의 결의를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호소문을 낭독하며 국회가 올해 안에 이태원 참사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정민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벌써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이렇게 긴 시간이 흘렀음에도 아직 무엇하나 제대로 밝혀진 것도, 처벌받은 것도 없이 이태원 참사의 기억은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여당은 159명의 국민이 희생당한 참사를 반성하고 잘못을 인정하기는커녕 이를 왜곡해 국민들의 기억에서 이 참사를 지워버리려 한다”며 “오늘부터 10월 29일까지를 집중 추모 기간으로 정하고, 유가족과 시민이 함께 이태원 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오세훈 서울시장 국정감사 모습 (사진=연합뉴스) |
서울시는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사고 현장에 추모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울시청 국정감사에서 무소속 이성만 의원이 "참사 1주기 전에 유족과 합의를 봐서 원하는 방안으로 추모공간을 해주는 등 적극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자 "최근 들어 사고 현장에 추모공간을 만드는 안을 유족의 의사를 반영한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의원이 시가 더 내서라도 추모공간 조성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하자 오 시장은 "함께하는 정신이 더 중요하다"며 추모 공간 조성 예산은 서울시와 용산구가 반반씩 내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오 시장이 지난 1년간 유가족과 공식적인 만남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유를 물었다.
이에 오 시장은 "(유가족 측에서) 대리인을 선정한 분 이외에는 접촉 자체를 자제하겠다는 원칙을 정했고, (시에서는) 설득하려고 수없이 접촉을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서울광장 분향소 철거 여부에는 "되도록 자진 철거를 유도하고 있으나 마냥 1, 2년 있을 수는 없다"면서 "시민에게 적어도 1주기까지는 양해해달라는 입장 밝힌 바 있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한편, 이태원 유가족 측은 그동안 오 시장과 만나지 않은 것은 "유의미하게 대화할 부분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 시장이 천만 서울시민 안전과 이태원 참사의 여러 분야에서 책임이 있는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무리하게 유가족과 희생자가 머무는 (서울광장) 분향소를 강제 철거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