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응천 공동추진위원장과 이준석 개혁신당(가칭) 정강정책위원장(사진=연합뉴스) |
이원욱·김종민·조응천 의원을 주축으로 하는 '미래대연합'이 제3지대 통합론에 속도 조절에 나서는 모양새다.
앞서 미래대연합 이원욱 의원은 지난 15일 라디오에 출연해 "미래대연합의 정당의 틀 그 우산 속에 들어오는 당들이 합해져서 설날 밥상에 올려드리고 싶다는 게 저희 목표"라며 통합 목표 시한을 설 연휴 전으로 거론한 바 있다.
그러나 같은날 이준석 정강정책위원장이 "솔직히 빠르다고 생각한다"며 부정적 견해를 내비치자 속도 조절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미래대연합 공동대표인 박원석 전 의원은 16일 국회에서 열린 확대운영회의 후 "사견인데 저도 이르다고 생각한다"며 "그때까지 '통합 빅텐트'는 안된다"고 말했다.
박 전 의원은 "설 전 빅텐트를 쳐야 한다는 데 대해 이준석 위원장이 이르다고 생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저희도 이르다고 생각하고, 저희가 방점을 두고 있는 계획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떻게 민생을 위한 정치를 할 건지 국민에게 설명하는 게 우선이지 통합하는 게 우선이 아니다"라며 "이준석 위원장 말이 틀린 게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박 전 의원은 공동대표인 이원욱·조응천 의원이 전날 설 연휴 전 제3지대 통합론을 거론한 것에 대해선 "물리적, 정치적 통합이 아니더라도 일종의 정치적 선언 같은 것을 해야 한다는 의미였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박 전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도 "설 연휴 전까지 물리적 통합이 어려울 수도 있다"며 "설 전 통합 당대회 같은 것을 상정하는 게 아니고 일종의 정치적 선언이라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김종민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언제 될지 장담할 수 없지만 가능한 설 전에 정치적 선언과 국민들에 대해 약속은 해야 한다는 생각과 계획을 말씀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민주당과의 재결합 여부에 대해선 "이재명 대표의 정치는 결국은 시한부로, 이런 정치로 민주당을 계속 끌고 가는 건 어렵다"며 "총선 이후가 됐든 어느 시점이 됐든 민주당에 새로운 변화의 계기가 있을 것이라 보고 그렇게 되면 같이 또 할 수도 있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했다.
한편 미래대연합 공동대표 이원욱·김종민·조응천 의원 및 박원석·정태근 전 의원은 모두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에 출마하기로 했다.
박 전 의원은 "다 지역구에 출마한다는 결정을 했고 다만 기존 지역구에 연연하지 않고 총선 전략에 따라 결정하고 출마한다고 합의를 봤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