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 채수근 상병의 안장식 (사진=연합뉴스) |
지난 수십년간 재난 지원을 나갔던 해병대지만 하천변 실종자 수색 시 구명조끼를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조차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최용선 해병대 공보과장은 "수변 지역에서의 실종자 수색 작전 간 구명조끼 착용 등 대민 지원 형태별 구체적인 매뉴얼은 없다"면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 상황별 안전대책과 현장 안전조치 요령을 보완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19일 경북 예천 내성천에서 구명조끼 착용없이 실종자 수색 임무를 수행하던 해병대 채수근 상병이 급류에 휩쓸려 순직했다.
현장에서는 구명조끼가 지급되지 않아 입고 싶어도 입을 수 없었으며 해병대 마크가 선명하게 보이도록 별도 상의를 착용하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왔다는 증언이 나왔다.
또한 해병대가 부실한 안전장비를 대신해 포상 휴가를 걸고 실종자 수색을 독려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에 대해 해병대 측은 "14박 15일 포상 휴가 조치는 시신을 찾은 병사의 심리적 안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휴가 기간을 부여한 것"이라며 "독려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사고 원인과 직접 연관 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해병대는 또 순직한 채 상병의 동료들의 주말 출타와 면회가 제한됐다는 주장에 대해선 "주말 간 외출자가 3명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부인했다.
![]() |
▲영결식 모습 (사진=연합뉴스) |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누구보다 나라를 사랑했던 청년, 명령에 충실했던 병사를 기억하겠다"고 밝히며 고인을 애도했다.
민주당 선다윗 상근부대변인은 "누구보다 뜨거운 애국심으로 해병대에 자진 입대한 애국 청년이지만, 군은 그를 구명조끼도 없이 거센 물살에 내몰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군 당국은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을 통해 다시는 비통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는 유족들의 간절한 염원에 책임 있게 대답해야 하고 근본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안타까운 순직에 훈장을 추서하는 것보다, 사전에 다시는 이런 비통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