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단체회원들이 5일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진실에 투표하세요' 전국 순회 행진 기자회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태원·세월호 등 재난참사 유가족들이 제22대 국회에 참사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입법을 촉구했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등 7개 단체는 4·10 총선을 이틀 앞둔 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주간 전개한 '생명안전 3대 과제 약속 운동'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지난달 25일 이태원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과 독립적 조사 보장,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권고 이행 점검과 진상규명 추가 조치 보장,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을 촉구하는 서한을 각 정당과 후보자에게 보냈다.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연합,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진보당, 조국혁신당, 새진보연합, 노동당 등 8개 정당이 정책 이행을 약속했으며,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자유통일당, 개혁신당은 당 차원에서 응답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대상 후보 245명 중 181명(73.9%)이 응답했다. 더불어민주연합(30명)과 녹색정의당(31명), 새로운미래(39명), 진보당(21명), 조국혁신당(25명), 새진보연합(1명), 노동당(3명)은 대상 후보자 전원이 응답했다.
다만 김윤 광주시 서구을 국민의힘 후보, 최용운 전북 정읍시고창 국민의힘 후보, 이원욱 경기 화성시정 개혁신당 후보, 조응천 경기 남양주시갑 개혁신당 후보, 이태완 세종특별자치시을 개혁신당 후보, 황영현 대구광역시 북구을 개혁신당 후보 등 6명은 당과는 별개로 약속운동에 동참했다.
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이정민 운영위원장은 "가장 우선시돼야 할 생명과 안전이 도외시되는 후진적 정치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며 "생명 안전 국회를 만들겠다고 다짐한 22대 국회 후보자들은 그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전사회를 향한 유가족들의 절규가 22대 국회에서 끝나도록, 다시는 이런 사회적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투표해달라"고 덧붙였다.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김순길 사무처장도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국가와 국회는 그 의무를 다해야 한다"며 "이번 22대 국회는 반드시 생명존중과 안전사회 건설 위해 3대 정책과제를 처리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