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염수 방류 시작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
외교부는 한국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지지한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찬성하거나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반박했다.
외교부는 25일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BBC 보도에 대한 별도의 입장을 내고 이같이 말했다.
BBC는 지난 24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첫날 현장을 보도하며 "중국은 일본이 태평양을 개인 하수처리장으로 쓰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정부는 방류 계획을 지지하고 있으나 여론은 다르다"고 보도했다.
외교부는 "정부는 일본 측 방류 계획의 안전성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국제 검증과정에 적극 참여했고 자체적으로 안전성을 검토하였는바, 실제 방류가 검증한 대로 이행되지 않거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이를 반대한다는 입장도 분명히 밝혀왔다"고 언급했다.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기사를 통해 “윤석열 정부는 일본을 지지하지만, 야당은 오염수 방류가 인간에 대한 잠재적 위협이라고 강하게 비판한다”고 서술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의 입장에 공감을 표했지만, 반대 측은 중국과 비슷한 입장을 취했다. 많은 한국인이 오염수 해양 방류를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지난 24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국민담화를 통해 요구한 대로 오염수 방류 과정에서 일본이 철저하게 과학적 기준을 지키고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정보를 공개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직접 사안에 대해 언급하는 대신 "총리의 설명과 다르지 않다"는 식으로 문제 자체를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공식적으로는 찬성도 반대도 아니라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 |
▲수산시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
26일 더불어민주당은 외신에서 ‘한국 정부가 오염수에 조용한 반응’이라며 찬성한다는 취지의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윤석열 정부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지 말라고 경고했다.
또한 후쿠시마 오염수 배출로 인한 일본의 피해 배상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내용의 동영상이 왜 대통령실 예산으로 제작되었으며 방류에 찬성하지 않는다면 왜 국민의 세금으로 대통령실이 앞장서서 이런 영상을 제작하는 것인지 물었다.
그러면서 우리 해역의 방사능 오염 감시, 위축될 수산물 소비 촉진 지원 등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해 올해에 37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일본이 오염수 방류만 하지 않았다면 쓰지도 않았어도 되는 국민 혈세를 낭비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오염수’라는 표현을 ‘처리수’로 변경할 여지를 남겼다"면서 "오염수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오롯이 우리 국민이 부담하고, ‘처리수’로 용어 변경까지 고려하면서 일본 오염수 방류에는 찬성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