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모습 (사진=연합뉴스) |
전국 의과대학 학장들이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동결하고 의료계와의 협의체에서 향후 의료인력 수급을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정부가 내놓은 '자율 증원안'에 대한 거부 의사를 밝힌 것이다.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이 모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지난 18일 학장·학원장 회의를 거쳐 이같은 내용이 담긴 대정부 호소문을 21일 발표했다.
KAMC는 호소문에서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은 동결하고, 2026학년도 이후 입학 정원의 과학적 산출과 향후 의료인력 수급을 결정할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의료계와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해 논의하자"고 주장했다. 의료계의 기존 입장을 반복한 셈이다.
이어 "교육부는 휴학계 승인을 불허하고 있지만 현 사태가 지속된다면 학장들은 집단 유급과 등록금 손실 등 학생들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휴학을 승인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KAMC는 정부의 '의대 정원 자율 증원' 방안에 대해서는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국가 의료인력 배출 규모를 대학교 총장의 자율적 결정에 의존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반대했다.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의대 증원 관련 특별 브리핑을 열고 "대학별 교육 여건을 고려해 올해 의대 정원이 확대된 32개 대학 가운데 희망하는 경우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된 인원의 50~100% 범위 안에서 신입생을 자율적으로 모집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로서 2천명 규모의 정원 증원을 둘러싼 논쟁은 앞으로도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립대 총장측이 자율 증원을 언급하며 해결의 실마리가 풀리는 것처럼 보였지만 KAMC측이 기존 입장을 반복하면서 해법 찾기는 제자리로 돌아간 모양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