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인촌 문체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
유인촌 문화체육부 장관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 시절 "블랙리스트는 실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정반대의 문건이 공개되어 주목받았다.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가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블랙리스트 사건 경위와 사실관계 등을 기록한 백서에 유 후보자 이름이 104번 언급됐다고 지적했다.
지난 4일 한겨레는 보도를 통해 이명박 정부 국정원이 2010년 작성한 ‘예술계 종북 세력의 반정부 정치활동 무력화’ 문건을 보면, 당시 정부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제압’ 계획이 담겨 있다고 공개했다.
해당 문건에는 “최근 연예계·문화예술계 종북 인물들이 2012년 정치일정(대선)을 겨냥, 세 결집을 꾀하면서 정부 비판 활동을 획책하고 있어 면밀 대처 필요”라고 명시됐고 이 당시 문체부 장관은 유인촌이었다.
이 보도는 문건에 “예술계 종북 인물들의 반정부 활동 방치 시 사회 전반의 좌경화 등 심대한 악영향이 우려되므로 선제적이고 치밀한 대처로 제압”해야 한다며 “문화부는 작가회의(한국작가회의)·민예총(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내 온건 좌파 인물에 대해서는 끌어안기 등 순화 방안 강구”하고 “포용 가능한 종북 예술인들을 선별, 정부 지원사업 대상에 포함하는 등 전략적 우군화 추진”이라고 적혀 있다고 밝혔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국정원 불법사찰’을 수사하던 검찰은 이명박 정부 국정원이 해당 문건을 작성해 유인촌 문체부에 보냈다는 진술을 확보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 |
▲임종성 의원이 공개한 자료 (사진=연합뉴스) |
유 후보자는 이에 대해 "104번 기록됐다는 것을 이번에 처음 알았다. 백서는 사실 일방적으로 기록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이 문건은 상단에 '제한, 대외기관 중요보고에 반영예정’이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관계자로부터 "문체부 장관만 볼 수 있도록 제한한 것”이라는 진술이 밝혀진 바 있다.
이와 관련 유 후보자는 임 의원이 문건을 보고받거나 수령한 적이 있느냐고 묻자 "없다"면서 "실제 그걸 전달받은 일도 없고 국정원에서 문체부에 찾아와 직접 뭘 주고 가고 이런 점도 없었다"고 부인했다.
![]() |
▲한겨레가 보도한 좌파연예인 |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