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당 상무집행위원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
정의당이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후폭풍에 휩싸였다.
지도부가 다음 달 19일 열릴 이른바 '혁신 재창당' 당 대회까지 현 체제를 유지하기로 하자, 당내 곳곳에서 반발이 터져 나오며 혼란스러운 모습이다.
정의당은 지난 주말 대표단·의원단·광역 시도당 연석회의를 차례로 열어 향후 당 진로를 논의했으며, 일단 '이정미 지도부'를 유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보궐선거 직후 지도부 총사퇴론을 펴왔던 비주류 목소리는 더욱 증폭됐다.
![]() |
▲이정미 정의당 대표 (오른쪽, 사진=연합뉴스) |
당내 청년 조직인 청년정의당 김창인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변화 없는 지도부에 동참할 수 없다"며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김 전 대표는 "이정미 지도부는 보선 결과에 대해 눈 가리고 아웅 할 게 아니라 총사퇴를 말해야 한다"며 "이번 선거로 이정미표 자강론은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이 회견에 참석한 류호정 의원은 보선 결과에 대해 "당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마지노선이 무너진 엄중한 상황"이라며 "'지난 1년간 하던 대로 해서는 안 된다,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는 게 제 입장"이라고 했다.
'대안신당 당원 모임'도 입장문을 내고 "득표율 1.83%라는 보궐선거 결과는 매우 참담하다"며 "분명한 정치적 책임과 근본적 노선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정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의 결단을 촉구한다"며 "전권 비상지도부를 구성해 당의 노선 전환과 총선 지휘 책임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