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야당 의원들의 김건희 여사 디올 명품백 관련 국민권익위원회 청문회 요구 기자회견(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사건을 조사했던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국장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 데 대해 "'종결 처리하지 말고 수사기관에 보내야 한다'는 양심적 의견을 냈던 공직자를 죽음으로 내몬 윗선부터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10일 오전 서면 브리핑을 통해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에 대한 부당한 압박에 권익위 공직자가 운명을 달리했다"며 "공직을 올바로 수행하려다 운명을 달리하신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주변 동료 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올린다"고 밝혔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과거 '공직자가 권력에 굴복하면 정의가 죽는다'고 말하지 않았나"라며 "그런데 왜 정의를 따른 권익위 공직자가 부당한 압박에 고통받아야 했나"라고 따져 물었다.
황 대변인은 "국민의힘은 '무조건적인 정치 공세는 협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다'며 되려 야당을 겁박하고 있다"며 "국민의힘은 최소한의 부끄러움을 느낀다면 입이라도 다물라. 대통령 부부를 지키기 위해 어디까지 망가질 셈인가"라고 각을 세웠다.
그러면서 "여야의 협치가 권익위 국장의 억울한 죽음을 외면해야 가능한 일이라면 민주당은 거부하겠다"고 했다.
황 대변인은 "이 추악한 권력 사유화, 권력농단의 수렁을 벗어날 길은 오로지 특검뿐"이라며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통과시켜 모든 의혹의 진실을 끝까지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8일 세종시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김 국장은 김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사건,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의 헬기 응급 이송 사건 등의 조사 실무를 총괄했다. 김 국장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 뒤, 그가 김 여사 사건 처리로 윗선 등으로부터 극심한 압박감을 받았다는 주변 인물들의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