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인요한 혁신위원장 (사진=연합뉴스) |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의 여파로 시작된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실험'은 예상대로 실패로 끝나가는 분위기다.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해 '쇄신'을 내걸었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국민의힘 내부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도부, 중진, 윤핵관 등의 자리지키기는 계속됐고 결국 혁신위는 조기 해체수순을 밟는 중이다.
잠깐 '김포 서울 편입'이 주목받았고 '공매도 금지'같은 정책 이슈로 바람 몰이를 하려는 시도가 있기는 했지만 이같은 땜질 정책은 이슈 몰이를 해내지 못했다.
지난 두 달간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30% 초·중반 박스권에 갇힌 모습이다.
연합뉴스와 연합뉴스TV가 공동으로 여론조사 당 업체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월례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포인트)에서 국민의힘 지지도는 34%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지난 5∼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에서도 국민의힘 지지도는 이와 비슷한 35%였다.
한국갤럽의 내년 총선 결과 전망을 묻는 조사에서 국민의힘에 투표할 의향을 보인 '정부 지원론' 응답자는 35%로 같았다.
반면, 야당에 투표할 것으로 보이는 '정권 견제론' 응답자는 51%로, 지원론과 견제론의 차이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최고 격차인 16%포인트(p)에 달했다.
이는 강서구청장 보선 당시 여야 후보 격차인 17.15%p와 비슷한 수준이다. 보선 참패 이후 두 달이 지났지만, 여권 지지율이 거의 반등하지 못한 것이다.
이 와중에 국민의힘이 내년 총선에서 서울 49개 지역구 가운데 6개에서만 우세를 보인다는 자체 판세 분석 결과까지 공개되면서 총선 위기감이 고조된 상태다.
이에 1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가 '주류 희생'과 관련해 어느 정도 전향적인 메시지를 발신할지 시선이 쏠린다. 그간 혁신위 활동을 종합한 최종 보고가 최고위원회의 안건으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향후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주류 희생을 포함한 혁신위 안건을 적극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는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된다.
만일 기존 입장만 반복한다면 지도부 책임론이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