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동훈 최고위원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
'여야의정 협의체'가 11일에도 출범하지 못한 채 일주일 가까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전날 내년도 정원 문제는 물론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 경질' 요구까지 협의체에서 다룰 수 있다고 말 했지만 일단 의료계를 논의 구조에 끌어들인다는 제안에도 의료계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사실상 추석 연휴 전에 협의체를 출범시켜 의정 갈등 해결의 물꼬를 트고 국민 불안을 해소하겠다는 당초 구상은 실현이 불가능해졌다는게 정계의 분석이다.
의료계가 빠진 채 협의체를 띄우는 방식에 더불어민주당은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며 '들러리 서지 않겠다'고 선을 긋고 있고, 여당 지도부 역시 정치권과 정부만 모여 논의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는 입장이다.
의료계는 '2025년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장동혁 최고위원은 이날 BBS 라디오에서 "일단 테이블에 앉자. 어떤 조건도 없이, 어떤 제한도 없이. 그래야 건강한 대화가 되고, 대화를 시작해야 문제가 풀린다는 입장"이라고 설득에 나섰다.
그러나 의료계가 한 대표의 '무제한 의제' 제안에도 아직 이렇다 할 공식반응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당 지도부 내에서도 박 차관 거취나 내년도 증원 문제를 협의체에서 다루는 데 대한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
원내 관계자는 "2025년도 정원은 조정 불가"라며 "의료계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의제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한 대표의 뜻은 이해하겠지만, 이미 수시모집이 시작된 만큼 협의체에서 그 사안을 논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 대표 측은 박 차관 거취와 관련해 "현 의료 사태의 정점에 있는 사람과 마주 앉아 이야기할 수 없다는 게 의료계의 입장 아닌가"라고 지적한 반면, 원내 지도부나 용산에서는 '인사 문제는 논외'라며 선을 긋고 있다.
이처럼 상황이 쉽지 않지만, 한 대표 측은 추석 전 협의체 출범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일각에선 당정의 의료 개혁 방향성에 공감하는 일부 의료단체 대표자들과 우선 협의체 구성을 시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대표 측 관계자는 "국민 불안이 가장 큰 추석 연휴 응급실 문제부터 논의하는 모습이 필요한 만큼 취지에 공감하는 분들과 먼저 하고 싶은 마음도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의료계 인사들을 전방위로 접촉하며 협의체 참여를 설득하겠다는 방침이다.
한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는 이날 각각 경남 양산 부산대병원과 서울 동작구 중앙대병원 응급실을 찾는 등 의료계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노력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