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사진=연합뉴스) |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예고한 탈당 시한을 하루 앞두고 당내에선 이 전 대표와 결국 갈라설 수밖에 없으리라는 관측이 확산하고 있다.
사실상 탈당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이 전 대표는 당내 무성한 관측에 아랑곳하지 않고 탈당을 결행할 태세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내일 기자회견을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의 측근으로 꼽히는 이른바 '천아용인'(천하람·허은아·김용태·이기인) 그룹에서도 탈당 및 신당 창당에 합류하려는 움직임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김용태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당에 남겠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허은아 의원은 비례의원 신분을 던지고 탈당할 것이며 현재 시기를 가늠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천하람 순천갑 당협위원장의 경우 거취를 두고 "곧 밝힐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잔류에 힘이 실린 분위기다.
윤희석 선임대변인은 26일 BBS 라디오에서 "이 전 대표가 탈당할 수밖에 없도록 당에 대해 비판적인 말을 너무 많이 했고, 날짜를 특정한 것이 전략적인 실수"라며 "탈당할 경우 우리에게 유리할 일은 하나도 없지만 불리한 상황도 그렇게 커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한동훈 비대위'가 출범하고 나면 이 전 대표의 탈당 명분이나 신당 창당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은 "새로운 비대위원장에 대한 기대가 생겼으니 이 전 대표 쪽으로 따라가려는 사람도 많지 않다"며 이 전 대표가 한동안 '고립무원'의 처지에 놓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비주류 일각에선 당이 '중·수·청'(중도층·수도권·청년) 표심을 얻기 위해 이 전 대표를 끌어안아야 한다는 주장이 여전하다.
한 비주류 의원은 "당으로서는 필요한 존재이므로 품어야 한다는 전제에 변함이 없다"며 "지난 대선 때도 다 합쳐서 겨우 0.73%포인트로 이긴 점을 생각해보면 답은 나와 있다"고 포용론을 폈다.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을 이제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으로 설정하고, 총선 과정에서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도 벌써 나온다.
하태경 의원은 "창당은 막을 수 없겠지만, 선거 연대라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