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선출, 당원에게 묻고 당원이 결정하게 하라>
5일,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와같이 밝혔다.
김남국 의원은, 당 비대위가 당원들의 투표권을 제한하고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절차마저 훼손하는 결정을 한 점과 만족하기 어렵지만 그나마 한걸음 나아간 전준위의 결정을 비대위가 뒤집은 것을 지적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운을 뗐다.
김의원은 , 어제 오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는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 방식을 의결했다. 결과는 참담했고, 400만 당원이 염원했던 혁신과 쇄신은 찾아볼 수 없었고, 오히려 당원들의 투표권을 제한함으로써 민주주의 원칙마저 훼손하는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 비대위가 의결한 내용 중 문제가 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라고 지적했다. 본선 진출 후보를 중앙위원급 위원들의 투표만으로 결정하는 것과 최고위원 투표 시 두 표 중 한 표는 반드시 자신이 속한 권역 출신 후보에게 행사토록 한것이라고 지적했다.
첫째, 비대위는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예비경선에서 전준위에서 결정한 국민 여론조사 30% 반영안을 뒤집고 중앙위원급 위원 투표 100%를 의결했다, 이는 우리 당 국회의원들이 심도 있게 논의하여 마련한 당 혁신안을 정면으로 거부한 것이라며, 중앙위원급 위원만으로 예비경선을 치르게 되면, 당내 기득권 세력들의 의지가 담긴 후보들만을 투표에 부치게 되는 문제를 지속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비대위의 결정은 오랜 기간 지적되어온 당내 기득권 지키기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않겠다는 선언과 같다고 성토했다.
이어 그는, 당 지도부 선출에 당원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며, 이에 대해 전준위가 여론조사 30%를 반영하여 보완하려 했으나, 비대위가 막아선 것이라고 호소했다. 극소수 중앙위원급 위원들로 전당대회 본선 진출 기회를 결정하는 것은 과거로의 회귀라고 지적했다.
두번째로는, 지역 강제 투표 방식에 대해 언급했다. 최고위원 선출 시 1인 2표를 행사하게 되는데, 이중 1표를 자신이 속한 권역 출신 후보에게 행사하는 것은 당원의 투표권을 제한하는 것이자 강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차적 민주주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전준위가 혁신과 쇄신에서 후퇴하는 결정을 한 것이라면 비대위는 혁신과 쇄신을 위한 시도 자체를 파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민주당 의원은 강민정, 권인숙, 김경만, 김남국, 김병욱, 김승원, 김용민, 김윤덕, 김정호, 문정복, 문진석, 박범계, 박성준, 박주민, 박찬대, 신정훈, 안민석, 양이원영, 유정주, 이수진(지), 이수진(비), 이용빈, 이재정, 이탄희, 임종성, 장경태, 전용기, 정성호, 정청래, 정필모, 조정식, 주철현, 천준호, 최강욱, 최혜영, 한준호, 허종식, 홍정민, 황운하(이상 가나다 순), 정다은(경주시 지역위원장)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