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미 수시 시작돼 이미 7:1 경쟁 상황
![]() |
▲병원 앞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
정치권을 중심으로 의대 증원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이 임박했으나, 의사들은 여전히 2025학년도 증원부터 백지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전공의들은 "요식행위", "공수표" 등의 표현을 쓰며 협의체 제안에 강한 불신을 드러냈다.
정부 계획대로 증원되면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인데, 2025학년도 대학 수시모집 원서 접수가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계속 백지화를 주장하면 '역풍'이 있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10일 "여야의정 모두가 조건 없이 신속하게 협의체를 출범시켜야 한다"고 밝히며 "전제 조건을 걸 만큼 상황이 그렇게 녹록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계가 요구하는 '2025년 증원 백지화', '장·차관 경질'도 논의할 수 있는지에 "모여서 무슨 이야기를 못하겠나. 대화할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열린 입장을 밝혔다.
한 대표는 "생각을 고집하는 것, 절대 안 된다는 것으로 만남이 이뤄질 순 없다"며 "대화를 출발하는 것 자체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2025학년도 증원 재검토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이 바뀐 것이냐'는 질문에 "제가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중요한가"라며 "의료계가 여러 생각이 있겠지만 참여해서 대화해주면 좋겠다는 간곡한 부탁을 드리는 것"이라고 답했다.
![]()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사진=연합뉴스) |
한편, 의대 수시 접수 사흘째인 11일 현재, 이미 모집인원 대비 7배 가까운 지원자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사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각 대학의 수시모집 경쟁률을 보면 11일 오전 9시(대학별 경쟁률 집계 시간 상이)까지 전국 37개 의대 수시에 1만9천324명이 지원했다.
이들 대학의 모집인원이 2천918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6.6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셈이다.
이는 경쟁률을 비공개한 서울대와 이날부터 원서접수를 시작하는 단국대(천안), 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대를 제외한 수치다.
반면, 전공의 사직으로 인한 의료공백 기간에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 응급환자 사망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대 증원 등에 반발해 수련병원 전공의들이 사직한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환자 1천명당 사망자 수는 78.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7.0명보다 1.6명 늘었다.
전체 응급환자는 줄어들고, 응급환자 사망률은 높아졌다.
전체 응급환자는 전년 동기 대비 16.9%(411만5천967명→342만877명) 줄었지만 응급환자 1천명당 사망자는 6.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명 늘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