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포 편입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
강서 보궐 선거 승리 이후 정권의 주도권을 잡는가 싶었던 더불어민주당이 김포 서울 편입과 급작스런 공매도 금지 등의 정책 드라이브로 인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주도권을 빼앗긴 분위기다.
특히 비명계의 반발이 심하다.
민주당은 '김포 서울 편입'에 대해서는 '뜬금없는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여당을 공격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지역 여론을 살피며 신중 대응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은 여당이 야당의 공매도 금지 요구에 별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갑자기 '베끼기 정책'을 내놓았다고 꼬집으면서도 이재명 대표가 지난 대선 때부터 공매도 금지를 요구해왔다는 점을 함께 부각했다.
당 정책위 관계자는 "여당의 최근 정책 이슈몰이는 실정을 덮으려는 시도일 뿐"이라며 "타당성과 진실성 있는 정책이 아닌 설익은 정책, '카피 정책'에 밀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한 전략통 의원도 "보궐선거 참패 후 급조된 정책이라는 것을 국민들도 잘 알아 오히려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특히 메가 서울 구상 같은 현실성이 없는 정책은 시간이 지나면 여당에 악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 같은 당의 대응 기조에 비주류를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애매한 대응으로는 총선 이슈 주도권 경쟁에서 판판이 밀리게 되고 야당의 생명인 선명성마저 흐려질 수 있다며 더욱 강경한 대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20대 국회에서 김포가 지역구였던 김두관 의원(경남 양산을)은 지난 3일에 이어 이날도 "민주당의 전략이 뭔지 모르겠다. 왜 수도권 시민조차 반대하는 서울 확장론에 침묵하나"라며 '김포 서울 편입론'에 단호한 대응을 요구했다.
이낙연 전 대표도 "야당이 찬반 입장도 내지 않는 것은 당당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금융위의 공매도 금지 (사진=연합뉴스) |
여당이 찬성 여론이 상당한 정책들을 꺼내 드는 데 이를 반대할 경우 역풍이 우려되고, 그렇다고 이를 대놓고 수용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여당이 애매한 경계선에서 표심을 갈라치기 하고 있지만, 김포 주민과 개미 투자자 여론을 고려하면 김포 서울 편입 문제와 공매도 금지 등을 정치적으로 나서서 막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여당이 유리하게 짜놓은 판을 굳이 키워줄 필요가 없고, 결국 급조된 '매표성' 정책이라는 게 드러나면 오히려 여당이 여론의 역풍을 맞을 것이란 게 민주당 지도부의 시각이다.
이른바 '이슈 파이팅'을 진행중인 여당, 그리고 딜레마에 빠진 민주당의 총선 싸움은 벌써부터 진행되는듯 하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