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의장에 출마를 공식화 한 추미애 당선인 (사진=연합뉴스) |
22대 국회 최다선 의원으로 국회의장 출마를 공식화한 추미애 당선인이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민의는 대통령을 믿을 수 없으니, 국회가 강력한 견제 기능을 발휘하면서 정부의 역할을 대신해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야가 원만하게 합의해 온 것을 통과시켜주는 의사봉을 쥔 근엄한 의장이 아닌,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개인적으로는 정치적 명예를 회복하는 과정이었고, 정권심판론 같은 국민의 열망과 기대에 무거움을 느낀 선거였다”고 밝혔다.
추 당선인은 24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22대 국회 운영과 관련 "민주당이 공약으로 내건 이른바 '이채양명주'(이태원 참사, 채상병 의혹,양평고속도로 의혹,김건희 여사 명품가방·주가조작 의혹)를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면서 "본인 신상이나 이해충돌 관련 사안은 거부권 제한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대통령의 무리한 거부권 행사에 대해서도 제한을 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권한 남용이 이미 국민적 임계점을 넘었다. 누적된 분노가 방아쇠를 당기게 하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 국정 기조를 바꿔야 한다”고 언급했다.
만약 국회의장이 되면 여당과의 소통에 문제가 생기지 않겠냐는 질문에 "나는 국민 중심으로 보면서 정치해왔고, 단순히 소속한 당을 중심에 놓고 정치를 해오지 않았다"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는 김무성 전 의원을 포함한 비박계 여당 의원을 설득한 경험도 있다”고 말했다.
추 당선인은 "지금의 여야는 강성 지지층의 요구에만 매달린다. 지지층에게 욕먹을 용기가 안 보인다"는 질문에 "맞다. 그래서 ‘중립 기어’를 넣으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추 당선인은 "운전자가 ‘중립 기어’를 넣으면 타고 있던 승객은 다 죽는다. 법무부 장관 시절,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조치도 마찬가지 맥락이었다. 그때로 돌아가도 100% 똑같이 할 수밖에 없다. 그것이 나의 법률상 책임이었다”며 강력한 리더십만이 22대 국회를 잘 이끌어 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국혁신당 관련해서는 "민주주의 원리는 다양성의 원리"라며 "내가 의장이 된다면 다양성을 살리겠다. 상호 연대하며 공통분모를 찾아내고 제도화해야 한다”고 민주당과의 관계 유지속에 필요하다면 교섭단체 문턱을 낮추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