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초선의원들과 자리를 함께 한 윤재옥 권한대행 (사진=연합뉴스) |
22대 총선에 당선된 국민의힘 초선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현행 ‘당원투표 100%’로 규정된 전당대회 룰을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일보가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국민의힘 지역구 당선인 28명, 비례대표 당선인 16명 등 초선 당선인 4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전화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된 이번 전수조사에서 5명을 제외한 39명의 초선 당선인이 질문에 답했다.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와 관련해서는 39명 중 20명(51.28%)이 ‘민심을 반영하는 쪽으로 차기 전당대회 룰이 개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현행 당원투표 100% 규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은 5명(12.82%)에 불과했다.
11명(28.94%)의 초선 당선인은 “전당대회 룰과 관련해 아직 입장을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통화는 이뤄졌으나 응답 자체를 거부한 당선인은 3명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초선 당선인 중 7명은 ‘민심 50%·당심 50%’로 전당대회 룰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선 당선인 중 8명은 ‘당심 70%·민심 30%’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 |
▲지난 4월 17일 진행된 윤재옥 권한대행과 지역구 초선당선자들 간담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
국민의힘은 김기현 당시 대표를 선출했던 지난해 3월 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윤계 주도 아래 ‘당심 70%·민심 30%’였던 전당대회 룰을 현재 규정인 ‘당심 100%’로 바꿨다.
초선 당선인 5명은 ‘민심은 반영돼야 하지만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서는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당원투표 100%’인 현행 규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5명에 그쳤다.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와 관련해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한 당선인은 11명(28.94%)으로 나타났다.
응답 자체를 거부한 당선인은 3명이었다.
정성국 당선인(부산 부산진갑)은 “당대표는 당원이 뽑는 것이지만 동시에 국민을 대표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국민 여론을 반영해야 한다”면서도 “급격히 변화하는 것보다는 ‘당심 70%·민심 30%’ 정도로 국민 여론을 반영하는 것이 부담이 적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당선인은 “이번 총선 결과는 국민의힘에 쇄신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민심을 적극 반영한 지도부 선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수도권 당선인은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의힘에 애정을 가진 국민들이 적지 않은데, 그런 여론도 반영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김대식 당선인(부산 사상)은 “당비를 내는 당원이 일반 국민과 똑같은 투표권을 갖는 것은 옳지 않다”며 “선출직 후보를 낼 때는 일반 국민의 참여를 열어둬야 하지만 당대표는 당원이 뽑는 게 맞는다”고 강조했다.
이상휘 당선인(경북 포항남·울릉)도 “당원이 당대표를 뽑는다고 민심과 방향이 다른 당대표가 선출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